입식부엌 (부엌)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개념
1970년대, 등장한 서서 일할 수 있는 설비 및 가구가 갖춰진 부엌.
이칭
이칭
현대식 부엌, 주방
내용 요약

입식부엌은 1970년대 등장한 서서 일할 수 있는 설비 및 가구가 갖춰진 부엌이다. 그 이전에도 입식이 일부 수용된 개량부엌 또는 절충식 부엌은 존재했으나, 입식부엌이라는 용어와 형태가 주거에 본격적으로 도입, 확산된 것은 대단위 아파트의 건설이 진행된 이후이다. 초기의 특징은 부엌이 실내화되고, ‘싱크대’로 통칭되는 입식부엌 가구인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등의 작업대와 수납장이 설치되었다는 점이다. 1980년대에는 시스템키친, 1990년대에는 빌트인 시스템 키친과 아일랜드 키친, 2000년대 이후에는 스마트 키친으로 변화하였다.

목차
정의
1970년대, 등장한 서서 일할 수 있는 설비 및 가구가 갖춰진 부엌.
연원

한국에서 입식부엌은 1970년대에 등장하였다. 물론 1970년대 이전에도 입식 가구나 조리대, 가열대 등이 일부 수용된 형태의 개량부엌 또는 절충식 부엌은 존재하였다. 그러나 ‘입식부엌’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고, 주거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대단위 아파트의 건설이 진행되기 시작한 이후이다. 1970년대 들어 한국의 제조업체에서도 싱크대를 포함한 부엌용 가구의 생산이 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입식부엌의 설비를 아파트에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입식부엌의 확산은 아파트의 확산과 추세를 같이 한다.

이 시기 아파트형 부엌의 특징은 부엌이 실내로 들어오고, 부엌 바닥과 주거 공간의 바닥 높이가 같으며, ‘싱크대’로 통칭되는 입식부엌 가구인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등의 작업대와 수납장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었다는 데 있다. 이러한 입식부엌은 ‘주방(廚房)’이라는 용어로 점차 대체되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주로 앉아서 작업해야 하는 좌식의 재래식 부엌과 차별화하였다.

입식부엌은 이후 아파트뿐만 아니라 아파트형 공간 구성이 반영된 연립주택, 빌라 등의 공동주택 그리고 신축 단독주택에도 도입되었다. 주택의 형태와 관계없이 입식부엌 가구의 설치는 198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더욱 빠르게 퍼져나갔다. 그런데 입식부엌이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식탁의 유무와 이용은 별도로 진행되었다. 공간의 크기나 난방 여부에 따라 식탁을 들이지 못하거나, 가정에 따라서는 식탁이 있다 하더라도 다양한 이유로 좌식 밥상을 계속 이용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변천

1970년대 노동 환경의 변화로 가정부를 고용하기가 어려워지자 주부가 직접 주방에서 일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입식부엌의 인기가 높아졌고, 신축 주거 공간에서만 입식부엌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주택에서도 재래식 부엌을 입식부엌으로 개조하기 시작하였다. 편리성과 능률, 위생에 중점을 두던 입식부엌은 1980년대에는 설치 방식의 체계성과 디자인의 멋스러움을 추구하는 ‘시스템 키친’으로 변화하였다. 시스템 키친은 기존의 입식부엌 가구를 하나의 통일된 시스템으로 제작,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기능성을 최대한 살리고 장식 효과를 높인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입식부엌 가구가 도입된 주방을 시스템 키친이라 하였다. 이와 함께, 1980년대에는 가스레인지와 전기밥솥, 냉장고, 믹서 등의 가전제품이 부엌에 들어오면서, 입식부엌의 편리함과 효율성을 더욱 높여 주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입식부엌 가구와 가전제품이 일체화된 ‘빌트인 시스템 키친(Built-in System Kitchen)’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부엌 내 조리대 겸 작업대를 거실을 향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조리 등의 작업을 가족과 소통하면서 진행할 수 있는 아일랜드 키친(Island Kitchen), 즉 대면형 부엌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 부엌은 가사 노동 이외의 다른 작업을 하는 공간이자 가족의 중심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주거 공간에서 부엌이 차지하는 면적이 이전에 비해 넓어졌다. 2000년대 이후에는 부엌 가구와 다양화되고 대형화된 가전제품으로 채워진 입식부엌은 가족 구성원의 특징, 경제력, 개성, 취향 등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최신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킹을 이용한 스마트 키친이 등장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연정, 『근대부엌의 탄생과 이면』(시공문화사, 2020)

논문

조혜영, 「한국 부엌 디자인의 역사-근대 이후 부엌의 문화사적 의미』(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함한희, 「부엌의 현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선택들」(『한국학』 25-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