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식품 (())

식생활
단체
1986년, 설립된 김치 전문 제조업체.
단체
설립 시기
1986년 6월 11일
설립자
김순자
설립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소재지
경기도 부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성식품은 1986년 설립된 김치 전문 제조업체이다. 개업 초기에는 김순자가 가내 수공업 방식으로 김치를 담가서 호텔에 납품하였고, 86 서울 아시안 게임, 88 서울 올림픽, 88 서울 장애인 올림픽에 공식 김치 공급 업체로 선정되면서 회사의 규모가 확장되었다.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제 대회의 공식 김치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 33개국에 김치를 수출하고 있다. 한성식품 산하에 김치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정의
1986년, 설립된 김치 전문 제조업체.
설립 목적

1986년 김순자와 그의 남편은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의 작은 김치 공장에서 김치를 담가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서울 시내 한 호텔 주방에서 근무했던 남편은 고객들이 호텔 김치에 대해 불만을 쏟아내자 결국 직접 김치 공장까지 차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 당시에는 김치를 사 먹는 것이 매우 생소했지만, 언젠가는 집에서 김치를 담가 먹지 않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서 한성식품을 설립하게 되었다.

변천 및 현황

한성식품은 1986년 6월 11일에 창업하였다. 1996년 국제 품질 보증 시스템인 ISO 9002 인증을 획득한 후, 2000년 수출 유망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경기도 부천, 충청북도 진천, 충청남도 서산에 공장이 있으며, 김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2018년에 강원도 정선 지역에 네 번째 공장을 완공하였다. 2021년 현재, 한성식품은 250명의 직원이 1일 125톤의 김치를 생산하는 김치 생산 대표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주요 활동

한성식품은 86 서울 아시안 게임, 88 서울 올림픽, 88 서울 장애인 올림픽,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2002 부산 아 · 태 장애인 경기 대회, 2003 대구 유니버시아드 대회 등 각종 국제 대회에 공식 김치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04년에는 김치와 발효식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위해 김치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2007년에 김순자 대표가 전통 명인 제29호(농림식품수산부)로 지정되었고, 2012년에는 대한민국 식품 명장(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선정되었다. 한성식품은 2012년에 경기도 부천에 ‘김순자 명인 김치테마파크’를 열고, 어린이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김치 체험 교육을 하는 등 사회 공헌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또한 유치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찾아가는 김치 체험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후계자 양성을 위한 ‘김치 전문가 과정’을 개설하였다.

그러나 2022년 2월 22일 자회사가 운영하는 김치 공장에서 위생적이지 못한 식재료로 김치를 제조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 김순자 대표에게 부여된 전통 명인 자격이 취소되었다.

의의 및 평가

한성식품은 김치는 ‘담가 먹는 것’이라는 기존의 선입견을 깨고, 상품으로서의 김치 시장을 열었다.

참고문헌

논문

김순자, 「[특집: 한국 전통식품의 현대화 및 세계화] 김치산업의 현대화를 위한 현장애로」(『식품산업과 영양』 6-3,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인터넷 자료

한성식품(http://www.hskimchi.co.kr)

기타 자료

'한성김치 김순자 사장, ‘억척인생’ ‘김치 맛만은 세계최고 자신’', 매일경제(인터넷 신문, 1999.06.09.)
'“김치는 최고의 건강식품… 세계화에 힘 쏟을것”', 대한경제(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11301033286910590, 2021.12.01)
'1호 김치 명장의 추락… ‘썩은 배추’ 김순자, 명인 자격 자진반납', 조선일보(인터넷 신문, 2022. 03. 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