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주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서지학에서 목록 등을 정리할 때, ‘불서의 간행을 위하여 금전 등 물질을 베풀어주는 시주 행위를 실행한 사람’을 각각 모두 적시하기 위하여, 시주자로 기록되는 사람들 앞에 기입되는 용어.
이칭
이칭
연화자(緣化者), 모연자(募緣者)
내용 요약

‘시주자(施主者)’는 서지학(書誌學)에서 목록 등을 정리할 때, ‘불서(佛書)의 간행을 위하여 금전(金錢) 등 물질(財貨)을 베풀어주는 시주(施主) 행위를 실행한 사람’을 각각 모두 적시(摘示)하기 위하여, 시주자(施主者)로 기록되는 사람들 앞에 기입(記入)되는 용어이다. 유사한 개념으로 ‘연화(緣化)’ 또는 ‘모연(募緣)’이라는 용어가 있다. 연화⋅모연 행위를 한 승려를 목록 등에 기입할 때, 구체적으로 그 사람들의 앞에 ‘연화자(緣化者)’ 또는 ‘모연자(募緣者)’라 기록한다.

키워드
목차
정의
서지학에서 목록 등을 정리할 때, ‘불서의 간행을 위하여 금전 등 물질을 베풀어주는 시주 행위를 실행한 사람’을 각각 모두 적시하기 위하여, 시주자로 기록되는 사람들 앞에 기입되는 용어.
내용

불교에서 시주(施主)는 ‘승려나 절[寺刹]에 돈이나 곡식 등 먹거리 따위의 물질을 베푸는 행위’ 또는 ‘그러한 행위를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두 가지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서지학(書誌學)에서는 간행된 불전(佛典) 후미(後尾)의 간행 기록 사항에서 그 ‘불전의 간행을 위하여 재물(財物)을 보시한 사람’이 주1. 예컨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인 1377년 간본(刊本)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의 간기 사항에 “시주 비구니 묘덕(施主 比丘尼 妙德)”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 서지학에서 목록 등을 정리할 때 “시주자(施主者): 묘덕(妙德)”이라고 기록하면서, 그 도서의 간행을 위하여 특별히 물질을 베푼 사람을 지적하여 기록할 때 ‘시주자(施主者)’를 사용한다.

한편, 1378년에 간행된 목판인쇄본 『직지(直指)』의 간기에는 그 시주자로 “助緣門人/ 比丘尼 妙德 妙性/ 靈照 性空/ 鈐平郡夫人 尹氏/ …/ …/ 正順大夫判通禮門事 金繼生”라는 기록이 있다. 이때의 ‘조연(助緣)’도 시주자를 표시하는 사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때에는 ‘조연문인(助緣門人) 네 명[4人]의 비구니’와 ‘검평군부인 윤씨를 비롯한 4인의 세속인(世俗人)’ 즉, 8인 모두가 시주자의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불서의 간행에서 시주자와 유사한 개념으로 ‘연화(緣化)’ 또는 ‘묘연(募緣)’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때의 연화 · 모연은 ‘승려가 시주(施主)에게 돈이나 물건 따위를 기부[寄附, 施主]하게 하여 아주 좋은 인연을 맺게 함’이라는 개념으로, 이른바 ‘시주를 권장하여 해당 불사(佛事)를 원만하게 회향(廻向)하게 하는 승려’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연화 · 모연 행위를 한 승려를 목록 등에 기입할 때, 구체적으로 그 사람들의 앞에 ‘연화자(緣化者)’ 또는 ‘모연자(募緣者)’라 기록한다.

참고문헌

원전

금속활자본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1377)
목판인쇄본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1378)
주석
주1

분명히 밝히어 적음.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