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판각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조선시대 이후, 목판이나 책판을 보관하였던 건물.
내용 요약

장판각(藏板閣)은 조선시대 민간에서 목판본 인쇄를 위해 제작하였던 목판이나 책판을 보관하기 위해 별도로 지었던 건물이다. 특히 서원에 장판각을 건립하여 서원 판각 책판들을 보관하였으며, 서원 이외에도 향교, 서당, 사가, 사찰 등에서 장판각을 만들어 책판을 보관하였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시대 이후, 목판이나 책판을 보관하였던 건물.
내용

조선시대에 목활자 인쇄가 보편화되기 이전에는 민간의 경우, 목판 인쇄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졌다. 활자 인쇄와 달리 목판 인쇄는 목판 제작 이후 책판이 고스란히 남는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조상의 글이 새겨진 책판을 조상의 정신이자 유산으로 인식하였으므로 책판을 인쇄한 이후 책판의 관리와 보존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렇게 목판본을 인출한 이후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책판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서원 · 향교 · 서당 · 사가 · 사찰에서는 책판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건물을 지었는데, 이를 장판각(藏板閣)이라 한다. 조선시대의 서원에서는 재사(齋祠) 등에 장판각을 지어 책판을 보존하였고, 사가(私家)에서는 문중 소유의 토지에 장판각을 지어 보관하거나 문중 관련 사찰에 장판각을 만들어 위탁 보관하기도 하였다.

서원 장판각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주1, 주2, 주3 등이 있다. 도산서원 장판각에는 퇴계 이황(李滉)의 문집, 유묵, 언행록 및 저술류와 선조 어필 등 3천여 장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었다. 돈암서원 장판각에 소장했던 책판과 관련해서는 『돈암서원지(遯巖書院誌)』 「장판각기(藏板閣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1634년에 장판각을 건립한 이후 그동안 서원에서 보관해 오던 구판(舊版)과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유고(遺稿) 및 저술류 책판을 모두 합쳐 4천장 정도의 책판을 소장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단성(丹城) 상산김씨(商山金氏) 문중에서는 1890년경에 허전(許傳)의 문집인 『성재집(性齋集)』을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당시 판각한 『성재집』의 책판 수는 총 632장이었다. 상산김씨 문중에서는 문집 인쇄가 끝나가자 책판을 보관하기 위해 단성 법물리에 장판각 4칸를 건립하였다. 당시 『성재집』 간행 과정에서 소요되었던 지출 내역을 상세히 기록한 장부가 남아있는데, 책판 보관과 활용을 위한 장판각 건립 비용이 전체 간행 비용의 약 17%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장판각 건립은 책판 제작과 더불어 간행 사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돈암서원지(遯巖書院誌)』

단행본

남권희 외,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글항아리, 2013)

논문

손계영, 「『성재선생문집간소용하기』를 통해 본 19세기 후반 문집 간행과정과 간행비용 분석」(『고문서연구』 46, 한국고문서학회, 2015)
주석
주1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서원. 조선 선조 7년(1574)에 퇴계 이황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문인과 유림이 중심이 되어 창건하였으며, 이듬해에 선조에게서 편액(扁額)을 받아 사액 서원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영남 유림의 정신적 중추 구실을 하였다. 201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적 정식 명칭은 ‘안동 도산 서원’이다. 우리말샘

주2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서원. 인조 12년(1634)에 김장생의 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현종 원년(1660)에 왕이 ‘돈암’이라는 현판을 내려 주어 사액 서원이 되었으며, 김집ㆍ송준길ㆍ송시열을 추가로 모셨다. 고종 8년(1871)에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남아 보존된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 사적으로, 사적 정식 명칭은 ‘논산 돈암 서원’이다. 우리말샘

주3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서원.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으며, 철종 14년(1863)에 사액을 받았다. 201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적 정식 명칭은 ‘안동 병산 서원’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