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사본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원본의 이미지를 따라 그대로 베껴낸 책이나 글씨.
이칭
약칭
모본(摹本)
내용 요약

모사본은 글씨나 그림 등의 원본 위에 종이를 얹고 투사하여 베껴낸 책이나 글씨를 말한다. 모사의 방법으로는 반투명한 납지(蠟紙)를 올려 베끼는 경황법(硬黃法), 밝은 창에 비추어 얇은 종이에 베끼는 향탑법(響搨法), 경황법과 향탑법을 이용하여 원본 위에 종이를 얹고 글씨 획의 테두리를 베낀 다음 안을 먹으로 채우는 쌍구전묵법(雙鉤塡墨法) 등이 있다.

목차
정의
원본의 이미지를 따라 그대로 베껴낸 책이나 글씨.
내용

모사본(模寫本)의 모(摹, 模, 摸)자는 원본 위에 종이를 얹고 투사하여 베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사는 반투명한 종이와 빛을 이용하여 원본과 동일한 형태로 베끼는 행위를 말한다. 대표적인 모사법으로는 경황법(硬黃法), 향탑법(響搨法), 쌍구전묵법(雙鉤塡墨法)이 있다.

경황법은 고대 중국에서 모본 제작에 사용하였던 경황(硬黃)이라는 종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경황지는 뜨거운 판 위에 종이를 올려놓고 종이 표면에 밀랍을 고루 발라 종이에 밀랍이 녹아 스며들어 반투과성 종이가 되도록 제작한 종이이다. 경황법은 이 경황지를 원본의 위에 올려놓고 그대로 베끼는 방법을 말한다.

향탑법은 빛을 이용하여 투사하는 방법으로, 얇은 종이를 원본 위에 얹어 밝은 창에 비추어 베끼는 방법이며, 쌍구전묵법은 쌍구법(雙鉤法) 또는 쌍구곽전법(雙鉤廓塡法)으로도 알려진 방법으로 서예 등의 글씨 원본을 모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원본 위에 종이를 얹고 가는 붓으로 원본 글씨 획의 테두리를 조심스럽게 베낀 다음, 테두리 안을 먹으로 채우는 것이다. 쌍구법(쌍구전묵법)은 세밀한 제작 과정을 요하는 것으로, 복제 수단 가운데 가장 정확한 모사본을 만들 수 있다. 전통 시대에 쌍구전묵법으로 제작된 모사본이 상당량 현존하고 있다.

중국 서예 작품 중 모사본의 대표적인 사례로 왕희지(王羲之)의 필적을 베낀 「상란첩(喪亂帖)」을 들 수 있다. 「상란첩」은 향탑법에 의해 쌍구전묵으로 모사된 것으로, 현재 일본 궁내청(宮內廳)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모사본 제작 사례는 태조 어진(御眞)의 모사본 제작( 『태종실록』 1409년 2월 17일), 일본국 방여도(方輿圖)의 모사본 제작( 『세종실록』 1438년 2월 19일), 태조의 서압(署押)의 모사 및 위조(『세종실록』 1425년 3월 28일), 여연(閭延) · 무창(茂昌) 지형도(地形圖)의 모사본 제작( 『중종실록』 1523년 5월 14일), 경기전(慶基殿) 영정(影幀)의 모사본 제작( 『인조실록』 1631년 3월 28일), 어보(御寶) 인문(印文)의 모사본 제작( 『숙종실록』 1713년 9월 13일), 세조 어진(眞像)의 모사본 제작과 모사도감(模寫都監) 설치( 『영조실록』 1735년 7월 28일) 등 주로 임금의 어서, 어진, 지도, 어보 인문 등의 모사 사례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밀랍 종이를 이용해 모사한 예로 문종이 세자 시절에 귤 쟁반에 작성한 시의 주3주4에 모사하였다는 기록( 『성종실록』 1483년 11월 28일)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서울: 민음사, 2006)

논문

이완우 역, 「傳申, 法書의 複本과 僞作」(『미술사논단』 8, 1999)
주석
주3

임금이 손수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4

납을 올린 듯이 광택이 있는 매끄러운 천이나 종이 따위의 바탕. 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