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괘본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필사본 및 인쇄본 등의 서책 중 행과 행 사이에 괘선이 없는 책.
이칭
속칭
무계본(無界本)
내용 요약

무괘본은 행과 행 사이를 구분하는 괘선(罫線)이 없는 책이다. 여기에서 '괘(罫)'자는 원래 행과 행 사이의 선을 긋는 데 쓰는 식자용(植字用) 재료를 뜻한다. 무괘본은 필사본과 인쇄본에서 주로 나타난다. 필사본의 경우 테두리나 행간의 괘선을 그리지 않고 바로 본문 글씨만을 쓴 책을 의미하며, 인쇄본의 경우 행과 행 사이의 괘선 없이 인쇄된 책을 말한다. 행과 행 사이를 구분하는 선을 '계선(界線)'이라고 하는데, 계선이 있으면 유계(有界) 또는 유괘(有罫)라 하고, 계선이 없으면 무계(無界) 또는 무괘(無罫)라 한다.

목차
정의
필사본 및 인쇄본 등의 서책 중 행과 행 사이에 괘선이 없는 책.
내용

무괘본(無罫本)의 '괘(罫)'자는 행과 행 사이의 선을 긋는 데 쓰는 주1용(植字用) 재료를 가리키므로, 무괘본(無罫本)이란 행과 행 사이의 괘선(罫線)이 없는 서책을 말한다. 필사본의 경우에 테두리나 행간의 괘선을 그리지 않고 바로 본문 글씨만을 쓴 책을 의미하며, 인쇄본의 경우에는 행과 행 사이의 괘선 없이 인쇄된 책을 말한다.

괘선(罫線)을 서지학(書誌學)에서 계선(界線)이라고 하며, 경우에 따라 계격(界格) 또는 난(欄)이라고도 한다. 계선이 있으면 유계(有界) 또는 유괘(有罫)라고 표기하며, 계선이 없는 경우 무계(無界) 또는 무괘(無罫)라고 표기한다. 계선과 계선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때에는 이를 계폭(界幅)이라 한다. 필사한 사본(寫本) 또는 초본(鈔本)의 경우에는 사란(絲欄) 또는 격(格)이라고 한다. 괘선의 색깔에 따라 검은색으로 그은 것은 오사란(烏絲欄), 붉은색으로 그은 것은 주사란(朱絲欄), 푸른색으로 그은 것은 남사란(藍絲欄) 등으로 칭한다.

괘선의 유무는 고서 판본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해당 고서의 목록 및 서지사항을 기입할 때 반드시 표기한다. 동일한 서명과 내용의 고서가 이본(異本)인지 동본(同本)인지 계선의 유무, 광곽의 크기와 형태, 어미의 수와 형태, 행수와 자수, 판종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괘본은 여말선초 이전의 이른 시기 간행본이거나 중요 자료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살펴보아야 한다.

무괘본은 필사본과 인쇄본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필사본 중에서는 국보 제76호 『이순신(李舜臣) 난중일기(亂中日記)』, 보물 『 유희춘(柳希春) 미암일기(眉巖日記)』, 보물 『 권문해(權文海) 초간일기(草澗日記)』 등의 일기류가 대표적인 무괘본이다. 또한 인쇄본 가운데 대표적인 무괘본으로는 국보 제126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진본(晋本) 등이 있는데, 여말선초 이전에 발간된 목판본 불서에서 무괘본이 주로 확인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서울: 민음사, 2006)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서지학개론』(파주: 한울아카데미, 2018)
주석
주1

활판 또는 전산 인쇄에서, 문선공이 골라 뽑은 활자를 원고대로 조판함.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