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룡장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19세기 후반, 전주 지역에서 칠서방을 운영한 출판업자 하경룡이 간행한 상업용 판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경룡장판은 19세기 후반 전주의 출판사 겸 서점인 칠서방 주인 하경룡이 간행한 책을 의미한다. 하경룡장판은 하경룡이 사서삼경 책과 이를 언해한 언해서 80책을 내놓으면서 유명해졌다. 하경룡장판에는 대체로 ‘세경오중춘개간전주하경룡장판(歲庚午仲春開刊全州河慶龍藏板)’이라는 간기가 적혀 있다.

목차
정의
19세기 후반, 전주 지역에서 칠서방을 운영한 출판업자 하경룡이 간행한 상업용 판본.
내용

하경룡장판(河慶龍藏板)은 19세기 후반 전주지역에서 칠서방(七書房)을 운영한 출판업자 하경룡(河慶龍)이 간행한 상업용 책을 일컫는다. 하경룡은 19세기 후반 전주 천변에서 출판업과 서점업을 겸해 칠서방을 운영했다. 칠서방이란 칠서(七書)인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전문으로 간행하는 출판사라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하경룡이 운영하던 칠서방에서는 사서삼경뿐 아니라 32종의 판매용 책을 간행했다. 하경룡은 칠서방에서 현전하는 상업용 사서와 사서언해서, 그리고 삼경과 삼경언해서 80책을 간행하였다. 현전하는 칠서 목판본 중에 하경룡이 만든 판본이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졌으며 최고로 여겨진다.

하경룡장판의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20권 8책), 『논어언해(論語諺解)』(4권 4책),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대학언해(大學諺解)』, 『중용장구대전(中庸章句大全)』, 『중용언해』, 『시전대전(詩傳大全)』(20권 10책), 『시경언해』(20권 7책), 『서전대전(書傳大全)』(10권 10책), 『서전언해』(5권 5책),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24권 14책), 『주역언해(周易諺解)』(9권 5책) 등에는 모두 ‘세경오중춘개간전주하경룡장판(歲庚午仲春開刊全州河慶龍藏板)’이라는 간기가 적혀 있어 경오년 중춘(仲春), 전주부에서 하경룡이 만든 판본임을 알 수 있다. 간기에 적힌 ‘경오(庚午)’년을 1810년(순조 10)으로 보는 이도 있으나, 대체로 19세기 후반인 1870년(고종 7)에 제작된 것으로 본다. 현전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에서는 ‘풍패신간(豐沛新刊)’이란 간기가 보이는데, 이것이 하경룡장판인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사서삼경 책은 교육용 교재로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책의 판형 자체가 큰 것을 선호했다. 책의 판형이 클수록 종이 수요 또한 늘 수밖에 없었는데, 전주가 한지 생산지였기 때문에 종이의 수요를 감당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전주 남문 밖 천변에 있던 칠서방에서 사서삼경과 그 언해서 간행에 집중할 수 있었던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칠서방은 서계서포(西溪書舖)와 더불어 전주에서 가장 오래된 서점 겸 출판사로, 하경룡이 운영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칠서방은 하경룡 이후에 장재언(張在彦)이 운영했는데, 칠서방 고무도장 중에 ‘전주 남문 외 서천리/칠서방/주 장재언(全州南門外西天里/七書房/主張在彦)’이라고 하여 칠서방의 주소인 ‘남문 외(南門外)’와 주인 장재언이 언급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일각에서는 칠서방에서 사용한 사서삼경 책판을 하경룡이 직접 판각한 것이 아니라 1870년에 전라 감영의 책판을 임대 · 소장했다가 자신의 이름을 넣어 출판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하경룡장판은 칠서방에서 간행한 목판본 중 하경룡이 칠서방을 운영했던 19세기 후반(1870년)에 만들어진 판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좁혀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태영, 『완판본 인쇄 · 출판의 문화사적 연구』(역락, 2021)

논문

김기화, 「칠서방의 출판에 관한 연구」(『서지학연구』 43, 한국서지학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