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정력 ()

과학기술
문헌
조선시대에 매년 간행된 역서들 중에서 칠정(七政), 즉 태양과 달, 오행성(五行星,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천체력.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시대
간행 시기
조선시대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정력은 조선시대에 매년 간행된 역서들 중에서 칠정(七政), 즉 태양과 달, 오행성(五行星,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천체력이다. 칠정력은 일반적으로 관상감의 천문학자들이 행성의 위치와 일월식(日月蝕)의 시점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고자 역서이었기에 일반인들에게는 배포되지 않았다. 그러한 이유로 칠정력은 금속활자로 2부만 인쇄되었으며, 1부는 국왕에게 진상되고 나머지 1부는 관상감에 비치해 두어서 관상감의 천문학 분과 관원들이 참고하고 활용하게 만들었다.

정의
조선시대에 매년 간행된 역서들 중에서 칠정(七政), 즉 태양과 달, 오행성(五行星,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천체력.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시대에 관상감(觀象監)[^1]에서 매년 간행한 역서들 중에서 일과력(日課曆)은 일반적인 상용력(calendar 혹은 almanac)에 해당하고, 칠정력(七政曆)은 천체력(ephemeris)에 해당한다. 칠정력은 칠정(七政: 태양과 달, 오행성)에 대한 위치와 미리 계산하여 주3의 시점, 오성엄범(五星奄伏), 오성식(五行食) 등의 주4으로 여겨졌던 천체 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역서이다.

구성과 내용

칠정력은 일과력과 마찬가지로 칠정, 즉 7개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서 대통칠정력(大統七政曆), 시헌칠정력(時憲七政曆)이라고 구분해서 불렀다. 즉, 당시에 사용하던 역법시헌력(時憲曆)이라고 하면, 칠정력도 시헌력의 방법으로 계산하였기에 시헌칠정력이라고 지칭하였다. 조선에서는 1653년(효종 4) 이전까지는 대통력법(大統曆法)을 사용하여 역서들을 간행하였고, 1654년(효종 5) 이후로 청나라의 시헌력법을 받아들여서 역서들을 독자적으로 간행하였다. 따라서 중간에 다시 주6으로 잠시 돌아가는 시기를 제외하면 17세기 중반 이후 간행된 공식 칠정력은 모두 시헌칠정력이 되는 셈이다.

칠정력의 편찬과 간행은 관상감에 소속된 30명, 혹은 35명의 삼력관(三曆官)[^7]들 중에서 규정에 따라 선발된 12인의 관원들이 담당하였는데, 이들을 칠정추보관(七政推步官)이라고 지칭하였다. 칠정추보관 12인은 매년 10월 초에 선발되어 2년 뒤에 사용할 칠정력의 편찬을 담당하였다. 그 결과 매년 간행된 칠정력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계산을 담당한 12인의 칠정추보관과 인쇄를 감독한 감인관(監印官) 2인의 명단이 열거되어 있었다.

한편, 칠정력은 태양과 달, 오행성의 위치와 일월식의 시점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역서이었기에 일반인들에게 널리 배포되지는 않았다. 그러한 이유로 칠정력은 금속활자로 2부만 인쇄되어 그 중 1부는 국왕에게 진상되었고 나머지 1부는 관상감에 비치해 두어서 관상감의 천문학 분과 관원들이 참고하고 활용하게 하였다.

칠정력은 현재 칠정백중력(七政百中曆)의 형태로만 전하는데, 주9은 이미 만들어진 역서들의 역일 역주 정보를 축적하여 100년치, 혹은 110년치 정도를 모아서 편찬한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서운관지(書雲觀志)』
『삼력청완문(三曆廳完文)』
『삼력청헌(三曆廳憲)』

단행본

이면우, 박권수 외, 『국역 서운관지』(소명출판, 2006)

논문

박권수, 「조선시대 관상감의 역서 편찬과 인쇄」(『조선시대사학보』94, 조선시대사학회, 2020)
박권수, 「조선 후기의 역서(曆書) 간행에 참여한 관상감 중인 연구」(『한국과학사학회지』 제37권 1호, 한국과학사학회, 2015)
박권수, 「조선 후기 관상감 산원직(散員職)의 설치와 확대: 삼력관(三曆官)을 중심으로」(『한국과학사학회지』 41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9)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예조에 속하여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기후 관측, 각루(刻漏)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세종 7년(1425)에 서운관을 고친 것으로 고종 32년(1895)에 관상소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일기와 일과를 겸하여 쓸 수 있게 만든 일력. 우리말샘

주3

일식과 월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하늘에서 생기는 자연의 큰 변동. 동풍, 번개, 일식, 월식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5

태음력의 구법(舊法)에 태양력의 원리를 부합시켜 24절기의 시각과 하루의 시각을 정밀히 계산하여 만든 역법. 중국 명나라 숭정 초기에 독일의 선교사 아담 샬이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인조 22년(1644)에 김육이 연경에서 들여와서 효종 4년(1653)부터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6

중국 명나라의 누각박사 원통(元統)이 만든 역법. 명나라에서 반포된 것은 1368년인데, 이 역법은 1384년에 역원을 홍무 17년으로 고쳐 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공민왕 때 받아들여 효종 때까지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7

관상감에 속한 벼슬. 우리말샘

주8

조선 중기에, 1650년부터 1711년까지의 역(曆)을 묶어서 펴낸 책. 매년 매월의 대소(大小), 매일의 일진(日辰), 24절기의 입기 일시(入氣日時), 달의 삭망, 태양ㆍ달ㆍ금(金)ㆍ목(木)ㆍ수(水)ㆍ화(火)ㆍ토(土)의 매일의 위치를 28수(宿)에 따라 기록하였다. 10년간의 역을 미리 계산하여 한데 묶어서, 앞날을 알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6책. 우리말샘

주9

앞으로 올 백 년 동안의 일월(日月), 성신(星辰), 절후(節候) 따위를 미리 헤아려 만든 책력. 조선 정조 6년(1782)에 비롯하였는데 10년에 한 번씩 수보(修補)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