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역(온양온천) (())

목차
관련 정보
교통
지명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 배방읍에 있는 고속철도역.
지명/시설
건립 시기
2004년 4월 1일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있는 고속철도역이다. 2004년 4월 1일, 고속철도(高速鐵道)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고 2023년 현재 케이티엑스(KTX) 및 에스알티(SRT) 경부고속철도(京釜高速鐵道)와 호남고속철도(湖南高速鐵道)를 비롯한 동해선(東海線), 경전선(慶全線), 전라선(全羅線) 고속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 배방읍에 있는 고속철도역.
형성 및 변천

천안아산역은 2004년 4월 1일,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1992년 6월 30일에 천안아산역 예정지에서 주1이 거행되었으나 외환위기(外換危機)로 인하여 1996년 7월이 되어서야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어 애초 계획보다도 12년이 지나서야 역사(驛舍)가 완성되었다.

건설 초기 역명을 선정할 당시에 역사 소재 지역명을 따라 장재역을 역명으로 검토하였으나 그 지역이 가지는 인지도가 충분하지 않은 이유로 다른 명칭이 선정되었다. 2003년 당시 건설 주2천안시(天安市), 아산시, 충청남도의 의견을 수렴하여 고속철도 역 명칭 선정 자문 위원회를 구성하고 주민 주4를 통하여 천안아산역(온양온천)이란 역 명칭을 최종 발표하였다. 이후 2007년 3월, 장항선(長項線) 아산역이 영업( 새마을호, 주5)을 개시하였고 2008년 12월에는 수도권 주6 1호선이 운행되면서 고속 주8, 전철, 일반 열차 간 연계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2023년 현재 주10주11 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를 비롯한 동해선, 경전선, 전라선 고속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천안아산역에 인접한 천안역(天安驛)에는 일반 주9와 수도권 전철이 정차하며, 수원역(水原驛)을 경유하는 고속 열차가 지나가지만 정차하지는 않는다.

구성

고속철도 전용 역인 천안아산역은 타는 곳이 지상 4층에 있는 선하 역사이다. 매표소는 지상 2층에 있으며, 같은 층에 유실물 센터, 물품 보관함 등의 편의 시설과 회의실, 여행 센터, 천안아산 관광 홍보관, 약국과 식당, 카페 등을 비롯한 상업 시설이 자리하고 있다. 지상 1층에는 수유방, 현금 지급기 등의 편의 시설과 케이티엑스(KTX) 특송 서비스 접수처가 자리 잡고 있다. 주차장은 선하에 524면, 역사 서측 광장에 총 532면의 규모로 갖추어져 있다. 역사는 대지에서 날아오르는 학의 비상을 형상화하였으며 현대적 감각의 승강장 및 건물 외부의 아치형 구조물과 함께 각종 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황

천안아산역은 천안 지역뿐만 아니라 장항읍, 서산시(瑞山市) 등 주변 충청남도 지역민이 이용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천안아산역 총 수송 인원은 977만 8,826명이다. 이 중 약 76%(745만 6,089명)는 케이티엑스(KTX)를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약 24%(232만 2,737명)는 에스알티(SRT)를 이용하였다. 케이티엑스(KTX) 경부선(京釜線)은 상행(上行) 29회(주말 35회), 하행(下行) 33회(주말 39회), 케이티엑스(KTX) 호남선(湖南線)은 상행 13회(주말 14회), 하행 15회(주말 16회), 케이티엑스(KTX) 경전선은 상행 5회(주말 7회), 하행 8회(주말 10회), 케이티엑스(KTX) 동해선은 상‧하행 각 7회, 케이티엑스(KTX) 전라선은 상행 9회(주말 11회), 하행 11회(주말 12회) 정차하고 있다. 에스알티(SRT) 경부선은 상행 17회(주말 20회) 하행 21회(주말 23회), 에스알티(SRT) 호남선은 상‧하행 각 11회, 에스알티(SRT) 경전선은 상‧하행 각 1회, 에스알티(SRT) 동해선은 상행만 1회, 에스알티(SRT) 전라선은 하행만 1회 정차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철도역 이야기』 (국가철도공단, 2022)
『2022 철도통계연보』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2023)

인터넷 자료

한국철도공사(www.letskorail.com)
주석
주1

토목이나 건축 따위의 공사를 시작할 때에 하는 의식. 우리말샘

주2

국토 종합 개발 계획의 수립ㆍ조정, 도시ㆍ도로ㆍ항만ㆍ주택의 건설, 국토 및 수자원의 보전ㆍ이용ㆍ개발 및 개조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2008년 2월 해양 수산부 일부 등과 함께 국토 해양부로 통합되었다. 우리말샘

주3

특별한 사안이나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하여 전문가들로 구성한 위원회. 우리말샘

주4

선거 이외의 중요한 정책 사항에 대하여 주민이 직접 정치적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 시행하는 투표. 우리말샘

주5

우리나라의 급행열차. 최고 시속은 150km이며, 2020년까지 운행될 계획이다. 우리말샘

주6

전기 철도 위를 달리는 전동차. 우리말샘

주8

시속 200km 이상의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 우리말샘

주9

‘철도 건설 규칙’에서, 고속 철도와 도시 철도를 제외한, 열차가 주요 구간을 시속 200km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 우리말샘

주10

우리나라의 고속 철도. 최고 시속은 약 300km이며, 1994년 6월 프랑스 테제베로 차량 도입 계약을 맺어, 2004년 4월 경부선, 2015년 4월에 호남선을 개통하였다. 우리말샘

주11

서울과 부산, 서울과 목포를 잇는 고속 철도. 2008년에 착공하여 2016년 개통되었다. 수서역에서 지제역 구간은 수서 고속 철도의 전용 선로를 운행하고 천안 아산 역에서 부산역, 천안 아산 역에서 목포역 구간은 한국 철도 공사의 공용 선로를 운행한다. 최고 시속은 330km이며, 길이는 61.1km이다. 우리말샘

주12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감. 또는 그런 교통수단. 우리말샘

주13

서울에서 지방으로 내려감. 또는 그런 교통수단.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