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가산산성 ( )

칠곡 가산산성
칠곡 가산산성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소재하는, 조선 후기에 축조된 영남 제일의 산성. 사적.
이칭
이칭
갓산, 가사산, 가새
유적
건립 시기
1648년(내성), 1700년(외성), 1741년(중성)
관련 국가
조선, 일본
관련 인물
이명웅, 임당 이세재 허목 이원정
높이
2∽5.5m
길이
내성 6,493m 외성 4,860m 전체 111,433m
둘레
내성 4,710보 외성 3,754보 중성 602보
면적
2,212㎢
소재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 98-1번지일원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71년 3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 98-1번지일원
내용 요약

칠곡 가산산성은 내성, 외성, 중성의 복합식으로 축조된 성곽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전국에 대대적으로 산성을 구축한 시기에 동래-한양 간 대로상 경상도 최적의 요충지에 지어진 명실상부한 ‘영남 제일 관방’이다. 1640년 내성을 1차적으로 완성하고, 1648년 중수를 통해 현재의 내성이 축조되었다. 1701년 외성, 1741년 내성의 가운데에 중성 벽을 완축하였다. 1971년 사적 제216호 지정되었고 1977년부터 2018년까지 남문, 동문, 중성문, 수문, 성벽 몸체 등의 성곽 보수 및 복원이 이루어졌다.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소재하는, 조선 후기에 축조된 영남 제일의 산성. 사적.
건립 경위

「가산축성석기(架山築城石記)」에 의하면 칠곡 가산산성은 경상도 관찰사 이명웅(李命雄)경상도 지역 중 가산을 포함하여 공산, 독음산을 도형으로 그려 바치며 산성을 차례로 수축하자는 상소를 올린 것이 계기가 되어 축조되었다.

1639년(인조 17)부터 1640년(인조 18) 4월까지 내성 일부를 준공하였다. 둘레가 3,830보이고, 주1 1,752곳이 있다. 성 내부에는 주13, 주14, 주15, 열대, 주16, 관청, 사원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1648년(인조 26)에 내성을 증 · 개축하여 완공하였다.

외성은 1700년(숙종 26)부터 1701년(숙종 27)에 경상 관찰사 이세제의 장계에 따라 수축되었다. 규모는 성벽 길이 3,754보, 주17 1,890첩이다. 주18를 비롯한 창고, 그밖의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듬해 외성 안에 천주사를 짓고 승창미를 보관하였다. 1741년(영조 17)에 관찰사 정익하(鄭益河)의 장계가 주2됨에 따라 내성에 중성 벽을 차례로 축조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규모는 성벽 길이 620보, 여장 402첩이다. 인화관(人和館), 군관청, 군기고, 주19, 주20, 주21를 함께 설치한 뒤, 4년 후에 빙고를 설치하였다.

변천

칠곡 가산산성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과 가산면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902m 가산(架山)의 맨 위를 중심으로 축성된 조선시대 석축 산성이다. 1640년 내성을 1차적으로 완성하고, 1648년에 중수를 통해 내성이 완축되었다. 1701년에는 외성, 1741년에는 중성이 완축되었다. 가산산성의 내성 안에 주6를 설치하여 성주목의 속현이었던 팔거현이 칠곡 도호부가 되었다. 산성 내에 읍치를 둔 예와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높은 지대에 형성된 지방 읍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산산성은 경상 감영의 별진으로 칠곡 도호부 외에 의성, 군위, 의흥, 신녕, 하양, 경산 등 인근 여섯 지역의 군사적 통치권을 가지면서 군영으로서의 중심이 되었다. 인근 금오 · 천생 · 독용 · 화산산성주22의 형세로 긴밀한 협공 체계를 이룬 대규모 거점 성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성 안팎에는 칠곡 도호부 지방 관아 시설을 비롯해 경상 감영과 칠곡 도호부 및 각 진관의 군량을 보관하는 창고, 산성 방비를 위한 군기고와 주23, 경상도 지방의 모든 문서를 보관했던 장적고, 산성 주24와 방어를 위한 수호 사찰, 성내 생활에 필수 시설인 못과 우물, 백성들이 거주할 수 있는 마을을 조성하였다. 이는 위급할 시 항시 대비할 수 있는 행정과 관방 체계를 갖추고자 함이었다. 그러나 읍치가 높은 산성 안에 있는 관계로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는 장계가 수차례 있었는데, 결국 1819년(순조 19) 구 팔거현의 읍치인 팔거창지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로써 축성 후 180년간 유지된 칠곡 도호부 읍치는 가산산성 내에서 평지로 옮겨지게 되었다.

1885년(고종 32) 이후 가산산성은 폐지되었고, 1950년 한국전쟁 때에는 치열한 격전지로 변했다. 이로 인해 남아 있던 성내 많은 건물이 불에 타서 없어지고, 폭격으로 인하여 성벽이 무너졌다. 1954년 7월 26일 폭우로 남문의 주25가 반파되고 수구문과 성벽 일부가 유실되었다.

1971년에 사적 제216호로 지정되었으나 외성이 제외된 채 내성만 지정되어 반쪽짜리 문화재란 오명을 남겼다.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1977년부터 2018년까지 성벽 몸체, 남문, 동문, 중성문, 수문 등의 보수 및 복원이 이루어졌다.

형태와 특징

칠곡 가산산성의 둘레는 내성 6,493m, 외성 4,860m, 전체 11만 1,433m이며, 면적은 2,212㎢이다. 내성은 북곡성(해발 877m), 서포루(해발 851.5m), 가암(해발 862.3m), 남포루(해발 772.2m), 동곡성(해발 827.4m)의 봉우리들이 내성 외곽 지대를 형성하며 봉우리 사이의 능선에 성벽이 축조되어 있다. 내성은 가산산성 전체 형태와 유사하며, 장축 방향이 북서-남동향인 길다란 주26이다.

가산 정상의 남서쪽 약 500m에 위치한 해발 877m 일대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이어진 성벽이 리을(ㄹ) 모양으로 축조되어 있는 중성 벽이 확인된다. 가산산성 내성은 거의 대부분 편축 성이다. 북문, 서문, 중성문 주변에 한정하여 주35 성이 확인되며 자연 암벽을 성벽으로 대신하였다.

지형의 경사가 심한 곳은 성벽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기울기도 낮은 편이다. 경사가 심하지 않은 곳은 성벽 높이가 높은 편이며 경사도 역시 심하다. 내탁부(內托部)는 외벽 쪽으로 석축을 축조하고 그 상부에서는 성 내부를 향해 토축을 하여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성곽 상부에는 1.5m 가량 너비가 좁은 회곽로를 두었으며 성 내부 쪽으로 경사를 두어 배수를 고려하였다. 이외에도 경사가 급한 부분에 적용된 계단식 축성 구간이 확인되고 있는데 성곽의 내탁부를 계단식으로 단차를 두어 성벽을 축조하는 수법으로 가산산성에서 확인되는 축조 수법이다.

가산산성 성벽 몸체의 외벽 축조 수법은 그렝이질주27을 적절하게 혼용한 주10이며 하단부와 상단부가 서로 다른 수법으로 축조되었다. 하단부는 큰 석재를 사용하고 위로 갈수록 점차 석재의 크기를 작게 하였다. 일부 경사진 지형에서는 하단부의 높이는 동일하게 수평으로 축조하고 작은 석재로 축조한 상단부의 높이에 변화를 주어 성곽의 높이를 조절하였다.

가산산성 성벽 상부에 미석과 주4 유구가 잘 남아 있는 곳이 많다. 여장은 내성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장방형 판석과 주28을 혼용해 축조하였다. 특히 여장 기초 상부나 성곽 근처에서는 같은 규격의 전돌이 다수 확인되었다. 전돌 유구는 대부분 모서리에 기역(ㄱ) 모양의 턱을 두고 있어 주11과 같은 개구부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성벽에 사용된 석재는 화강석을 이용했고 중성 벽을 경계로 북쪽 지역에는 화강석과 주5를 혼용하였다. 문지 등 주요 시설물의 성 외벽 석재는 주29과 같은 대형 장방형 가공 할석을 이용했는데 채석용 쐐기 흔적이 확인된다. 내성 외벽의 잔존 높이는 2∽5.5m이다.

가산산성 성 내외에서 성문 4개소, 문루지, 주30 3개소, 주31 9개소, 수문지 4개소, 주32 24개소, 포루지 4개소, 보루지 17개소, 망대지 4개소 등 총 73개소 내외의 부대 시설이 확인된다. 성내 시설물은 남쪽 영역에는 서장대, 영창, 상장대, 관아, 산성 마을이 있다. 북쪽 영역에는 삼읍창, 보국사 구역이 있다. 이외에도 도로, 금석, 우물, 못 등이 확인된다. 현재 성내 각 시설물에는 지표상에서 초석, 담장, 기단, 계단 등의 유구가 확인되며, 주변으로 와편, 자기편 등의 유물이 산재한다.

발굴 경위 및 결과

칠곡 가산산성은 1998년 대구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를 통해 전체적인 산성의 규모와 형태가 파악되었다. 이후 2013년 칠곡 가산산성의 성곽 실측 조사 및 종합 정비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이 계획에 따라 1~3차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장대 건물지와 관아 시설 등의 주33 관련 건물지, 민가 시설로 추정되는 유구, 채석장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4 수문에 대한 발굴 조사를 통해 수문 통수부 내측에 옆벽의 기초부와 바닥에서 주34 방지용 박석, 입수부 앞 중앙에 두 계곡 물을 분리 · 유도하는 도수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칠곡 가산산성 내에는 칠곡 보국사지, 칠곡 남원리 각석문1~2, 칠곡 남원리 허부사비, 칠곡 남원리 비석군1~3, 칠곡 천주사지 등의 유적이 분포한다.

의의 및 평가

칠곡 가산산성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겪은 후 전국에 대대적으로 산성을 구축한 시기에 동래-한양 간 대로상 경상도 최적의 요충지에 내성, 외성, 중성의 복합식으로 축조한 성곽이다. 내부에 행정과 군사가 결합된 공해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단행본

경북과학대학 향토문화연구소, 『칠곡군의 문화유산 조사 및 문화진흥계획』(1999)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칠곡 가산산성 외성 : 사적지정 조사보고서』(201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사적 제216호 칠곡 가산산성 정비사업에 따른) 칠곡 가산산성 수문4』(2016)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칠곡 가산산성 서문 정밀실측보고서』(2017)
대구대학교 박물관, 『칠곡 가산산성 지표조사보고서』(1999)
칠곡군, 『칠곡군지』(1994)
주석
주1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2

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함. 우리말샘

주3

돌방무덤의 문 위쪽 문설주 사이에 가로로 걸쳐진 돌. 우리말샘

주4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5

변성 작용이 완전히 되고 미세한 알갱이들이 등립상(等粒狀)을 보이는 광물로 이루어진 변성암. 접촉 변성 작용에 의하여 생기며 편리(片理)를 나타내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6

군아(郡衙)가 있던 곳. 우리말샘

주7

성벽 바깥쪽 면은 돌로 쌓고 안쪽 면은 작은 돌과 흙으로 다지는 기법.

주8

성벽 안팎을 돌로 쌓은 기법.

주9

성벽 위의 통행로.

주10

크기가 다른 돌을 줄눈을 맞추지 아니하고 불규칙하게 쌓는 일. 우리말샘

주11

몸을 숨긴 채로 총을 쏘기 위하여 성벽, 보루(堡壘) 따위에 뚫어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12

제4수문.

주13

궁문, 성문 따위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우리말샘

주14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돌이나 콘크리트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우리말샘

주15

군대가 주둔하는 곳. 우리말샘

주16

물의 흐름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한 문. 우리말샘

주17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18

무기를 넣어 두는 창고. 우리말샘

주19

성가퀴를 앞으로 튀어나오게 쌓고 지붕을 덮은 부분. 우리말샘

주20

성벽(城壁)과 성루(城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ㆍ지휘하던 대. 성(城), 보(堡) 따위의 동서 양쪽에 돌로 쌓아 만들었다. 우리말샘

주22

하나는 위로 솟고 하나는 아래로 처진 뿔. 우리말샘

주23

화약을 저장하여 두는 창고. 우리말샘

주24

허름한 데를 고치고 덜 갖춘 곳을 기움. 우리말샘

주25

공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햇빛을 받아 나타나는, 반원 모양의 일곱 빛깔의 줄. 흔히 비가 그친 뒤 태양의 반대쪽에서 나타난다. 보통 바깥쪽에서부터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 보라의 차례이다. 우리말샘

주26

일정하지 아니한 모양이나 양식. 우리말샘

주27

돌을 쌓아 올릴 때, 돌과 돌의 틈에 박아 돌리는 돌. 우리말샘

주28

예전에 왕궁, 사찰, 왕릉 따위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하는 데 쓰던 벽돌. 우리말샘

주29

네모반듯하게 다듬어 성벽이나 담벼락에 높이 쌓아 올린 돌. 우리말샘

주30

성문 양옆에 외부로 돌출시켜 옹성과 성문을 적으로부터 지키는 네모꼴의 대(臺). 우리말샘

주31

성벽에 누(樓) 없이 만들어 놓은 문. 적의 눈에 띄지 아니하는 곳에 만들어서 평소에는 돌로 막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비상구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32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33

관가(官家)의 건물. 우리말샘

주34

강물에 의하여 강바닥이나 강둑이 패는 일. 우리말샘

주35

성을 쌓을 때,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을 쌓는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이일갑(시공문화재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