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항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선공감역, 한성주부, 회인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이칭
구지(久之)
입재(立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9년(숙종 15)
사망 연도
1756년(영조 32)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경상북도 봉화
주요 저서
입재유고(立齋遺稿)|추원록(追遠錄)|동사평증(東史評證)
주요 관직
선공감역(繕工監役)|한성주부(漢城主簿)|회인현감(懷仁縣監)
내용 요약

강재항은 조선 후기 문신이다. 그는 소론의 학통과 인맥을 이었으나 동시에 남인과도 교류하며 학문적으로 개방된 입장을 취하였다. 관직에 나가서는 국가의 모순된 제도를 지적하고 민생을 돌보았으며, 물러나서는 후진 양성에 힘썼다. 여러 저술 가운데, 『동사평증(東史評證)』은 단군에서 고려시대까지 전 역사를 성리학적 기준으로 평가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사론서(史論書)로 평가받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선공감역, 한성주부, 회인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구지(久之), 호는 입재(立齋)이다. 춘양(현 경상북도 봉화군) 출신으로, 아버지는 강우(姜鄅)이며,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로 이세준(李世俊)의 딸이다.

주요 활동

7세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배우는데 십여 장을 보고 그 뜻을 알았다. 어려서는 윤증(尹拯)의 문인인 큰아버지 강찬(姜酇) 밑에서 수학하다가, 1709년(숙종 35)에 직접 윤증의 문인이 되었다. 윤증 사후에는 윤동원(尹東源)을 스승처럼 모셨고, 권구(權絿) · 신익황(申益惶)‧윤광소(尹光紹) 등과 교유하였다. 이처럼 소론의 학통과 인맥을 이었으나, 집안이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계기로 영남지방으로 이주한 까닭에 남인들과도 꾸준하게 교류하는 등 비교적 학문적으로 개방된 입장을 취했다.

1737년(영조 13) 조현명(趙顯命)의 천거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한성주부(漢城主簿) · 회인현감(懷仁縣監) 등을 역임하면서 모순된 제도를 지적하고 선정을 베푸는 등 민생의 삶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가서는 윤증의 「획일도(畫一圖)」와 이이의 「위학지방도(爲學之方圖)」 등을 강론하며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입재유고(立齋遺稿)』 20권, 『추원록(追遠錄)』, 『동사평증(東史評證)』 등이 있다. 그 가운데 『동사평증>은 단군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전 역사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사건의 오류를 확인하고 도덕적인 교훈을 얻기 위해, 성리학을 기준으로 사론(史論)의 형식을 취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이것은 당시까지 사론 역사학이 중국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에서 확장하여 한국사에까지 미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사론서(史論書)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평증(東史評證)』
『입재유고(立齋遺稿)』

논문

강구율, 「立齋 姜再恒의 학문과 문학」(『한국학논집』 53, 2013)
김윤조, 「18세기 영남과 기호 소론가의 학문과 문학 교류」(『한국학논집』 53, 2013)
박인호, 「입재 강재항의 역사인식과 현실비판」(『한국학논집』 53, 201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