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암행어사, 관찰사, 한성부우윤,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혜중(惠仲)
죽서(竹西)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5년(인조 3)
사망 연도
1673년(현종 14)
본관
전주(全州)
주요 저서
죽서집(竹西集)
주요 관직
한성부우윤|이조참판
내용 요약

이민적은 조선 후기 암행어사, 관찰사, 한성부우윤,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그는 간원(諫院)으로서 정치‧경제‧군사 등 국가의 모순된 제도를 지적하였고, 암행어사나 관찰사로 파견되어 지방관들의 폐해와 지방 운영의 폐단을 보고하는 등 국정 전반에 관한 다양한 소차(疏箚)를 남겼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암행어사, 관찰사, 한성부우윤,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민적(李敏迪)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혜중(惠仲), 호는 죽서(竹西)이다. 이극강(李克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유록(李綏祿), 아버지는 영의정 이경여(李敬輿), 어머니 풍천임씨(豊川任氏)는 별좌(別坐) 임경신(任景莘)의 딸이다. 후에 숙부인 이정여(李正輿)에게 입양되었다. 황일호(黃一皓)의 딸과 혼인하여 이사명(李師命), 이이명(李頤命) 등 4남 2녀를 두었다. 윤문거(尹文擧)의 문인이며, 남구만(南九萬) 등과 교유하였다.

주요 활동

1656년(효종 7)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예조좌랑(禮曹佐郎) · 지평(持平) · 이조좌랑(吏曹佐郎) · 암행어사 · 관찰사 · 호조참의(戶曹參議)‧대사성을 거쳐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 도승지 · 이조참판 · 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특히, 간원(諫院)으로서 정치 ‧ 경제 ‧ 군사 등 국정 전반에 관한 많은 주1주2를 남겼다.

1657년(효종 8) 지평(持平)으로 있으면서 대사헌 채유후(蔡裕後), 장령 오두인(吳斗寅) 등과 함께 노비의 속량(贖良), 기근에 구제책 시행, 형벌의 완화, 간언(簡言) 채용 등에 대해 아뢰었으며, 실덕(失德)을 닦아 재변을 해소하도록 촉구하거나 주3의 공사를 중지하는 요청을 하였다. 1660년(현종 1)에는 홍주삼(洪柱三) 등과 함께 관원의 기강 강화, 경연의 시행, 주4에 대한 형벌 완화 등을 건의하였고, 이듬해 송시열이 떠나는 것을 만류하도록 상소하였다.

한편, 호서(湖西) 지방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현감과 군수에게 상벌을 요청하였고, 제궁가(諸宮家) 및 관청에서 점유한 시장(柴場)‧토전(土田)‧위전(位田)‧면세전(免稅田) 등의 폐단을 아뢰었으며, 공사(公私) 간의 어염(魚塩)을 혁파하여 군국(軍國)의 비용을 보충하자는 차자를 올리기도 하였다.

1663년(현종 4) 응교(應敎)로서 국왕의 실정(失政)을 지적하고, 국가의 병폐, 백성의 주5, 언로의 개방 등을 논의하였으며, 부제학이 되어 수성(守城)의 도리, 궁금(宮禁)의 엄숙, 군사의 증가, 양전(量田)의 중지 등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1672년(현종 13) 허적(許積)을 비판한 송준길(宋浚吉)과 이상(李翔)을 변호하였다가 현종의 미움을 사서 인동부사(仁同府使)로 좌천되었고, 부임을 지체하였다는 이유로 죄를 받아 주6되었다가 이듬해에 사망하였다.

상소문을 짓는 솜씨가 매우 뛰어나 효종과 송시열(宋時烈)로부터 극찬을 받았으며, 재주와 명망 등 모든 면에서 인정을 받아 현종으로부터 특별히 미곡 10곡을 하사받았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죽서집(竹西集)』 4권이 있는데, 장남 이사명이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현종실록(顯宗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주석
주1

나랏일에 관한 상소(上疏).    우리말샘

주2

상소(上疏)와 차자(箚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창덕궁 요금문(耀金門) 밖에 있는 궁원(宮苑).

주4

홀을 큰 띠에 꽂는다는 뜻으로, 모든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5

편안함과 근심.    우리말샘

주6

일생 동안 벼슬을 하지 못하게 하는 처분.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