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달리 본향당 ( )

목차
관련 정보
남제주 삼달리 본향당
남제주 삼달리 본향당
민간신앙
유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 황서국서 어모장군을 모신 신당. 마을신당.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 황서국서 어모장군을 모신 신당. 마을신당.
내용

삼달리 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이다. 마을에서 1㎞쯤 떨어진 ‘더러물’이라는 곳에 당이 있는데, 본래 경주 김씨 집안의 집터였다고 하며 현재 그 8대 손이 살고 있다. 당은 본래 집터였음을 짐작할 수 있게 고목이 방풍림처럼 둘러 있고, 그 안에 13평 정도의 당집이 지어져 있다.

지붕은 원래 초가였던 것을 슬레이트로 갈아 덮었다. 당 내부에는 시멘트로 제단을 넓게 만들고, 그 안쪽에 제상을 세워 그 위에 신상(神像)과 신의(神衣)를 넣은 함을 모셔놓고 있다. 신상은 길이 50㎝ 정도의 길쭉한 나무토막인데, 비단으로 만든 신의를 다섯 벌씩이나 겹쳐 입혀놓은 것이 5개나 있다. 당굿을 할 때는 이 신상을 내놓아 모신다. 그리고 당집 안에는 길이 2m, 너비 35㎝ 가량의 오색 천 6매를 달아맨 ‘백맷기’라는 신기(神旗)가 있는데, 기폭 끝 두 귀에는 작은 방울을 하나씩 매달아놓았다. 당굿을 할 때에는 이 기를 높이 달아맨다. 이 당의 신은 황서국서 어모 장군(禦侮將軍)과 이 신을 처음 모시기 시작한 김씨 영감이며, 제일은 매년 정월 초이튿날과 7월 초이튿날로 두 번이다.

전에는 매년 매인 심방이 하루종일 당굿을 했는데, 근래는 각 가정에서 제물을 가지고 와서 심방(무당)이 개별 축원하는 형식으로 간단히 하게 되었다. 이 당신에게는 쌀로 만든 떡이나 메·채소·과일·술 등은 다 올려도 돼지고기는 금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마을에서는 정월 초이튿날의 당굿의 부정을 피하기 위하여, 설날에 돼지고기를 일체 먹지도 않고 차례에도 올리지 않는다.

본향당의 본풀이에는 황서국서 어모 장군 신을 당신으로 모시게 된 내력을 설명해놓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서울의 황 정승이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막내아들이 황서국서 어모 장군이다. 황 정승이 병이 들어 백약이 무효인 때, 황소의 피를 먹으면 병이 낫는다는 점괘가 나왔다.

나라에서는 황 정승이 살아나면 역적이 될 것이라 하여, 백정들을 모조리 잡아 가두어 소를 못 잡게 만들었다. 할 수 없이 황 정승은 아들들에게 소를 잡아달라고 하였다. 큰아들과 둘째아들은 이를 거절하였는데, 막내아들은 참실로 소의 목을 묶어 고함을 지르니 소가 죽으므로 그 피를 뽑아서 아버지를 살려냈다. 나라에서는 그 아들을 역적으로 몰아 처형하려 하자, 제주도로 피난하여 들어왔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로 배를 대고 도내 각처를 돌며 좌정할 곳을 찾다가, 이 마을을 발견하여 좌정하기로 하였다. 이 마을에는 김씨 영감이 병이 들어 죽어가고 있었다. 황서국서 어모 장군은 김씨 영감 집 뒤의 큰 나무에 앉아 김씨 영감에게 “나를 고팡[庫房]에 모셔서 시루떡·돌래떡 등을 올려 위하면 살려주고 부자가 되게 해주겠다.”고 현몽을 주었다.

김씨 영감이 그대로 모시니 병이 낫고 큰 심방이 되어 거부가 되었다. 이때 큰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어 죽게 되었는데, 김씨 영감이 사재를 털어서 백성을 구제하니 나라에서는 김씨 영감에게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삼품 당상관의 문관 품계) 벼슬을 주었다.

그리고 김씨 영감이 죽어갈 때 신상을 하사해줄 것을 나라에 요청하니, 밤나무로 신상을 만들어주었다. 그것이 지금의 신상이며, 그 뒤 김씨 영감의 후손들이 ‘상단골’이 되어 이 신을 모셔 내려오고, 또 마을사람들이 차차 위하게 되어 마을의 수호신인 본향당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부락제당」(이두현 외, 『민속자료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현용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