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천태종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단체
1967년, 박상월(朴上月)이 창종한 대한민국의 법화 계통 종단.
이칭
약칭
천태종
단체
설립 시기
1967년 1월 24일
설립자
박상월
설립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救仁寺)
소재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길 73
발간지
천태종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불교천태종은 대한민국의 법화 계통 종단이다. 한국불교의 주요 종단으로 구성된 한국불교종단협의회의 회원 종단이다. 1967년 1월 24일에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구인사(救仁寺)에서 박상월(朴上月)이 창종하였다.

키워드
목차
정의
1967년, 박상월(朴上月)이 창종한 대한민국의 법화 계통 종단.
참고문헌

단행본

조기룡, 『종무행정론』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6)

인터넷 자료

대한불교천태종(http://www.cheontae.org/)
한국불교종단협의회(http://www.kboa.or.kr/maha/rorder/rorder_01.html)
한국불교종단협의회 대한불교천태종(http://www.kboa.or.kr/maha/rorder/r02.html)
주석
주1

중국 수나라 때에, 저장성(浙江省) 톈타이산(天台山)에서 지의(智顗)가 세운 대승 불교의 한 파. 법화경과 용수보살의 중론(中論)을 근본 교의(敎義)로 하고 선정(禪定)과 지혜의 조화를 종지(宗旨)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숙종 2년(1097)에 대각 국사가 국청사에서 처음으로 천태교를 개강함으로써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주2

현상계의 모든 존재의 각기 다른 모습과 그 속에 감추어져 있는 참모습을 알아내는 부처의 지혜. 우리말샘

주3

천태종에서 법화경을 주석한 책. 3대 주석서의 하나로, 중국 수나라 개황(開皇) 14년(594)에 형주(荊州) 옥천사(玉泉寺)에서 지의(智顗) 대사가 강설한 것을 제자 관정(灌頂)이 필기한 책이다. 20권. 우리말샘

주4

불교의 개조. 과거칠불의 일곱째 부처로,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이다. 기원전 624년에 지금의 네팔 지방의 카필라바스투성에서 슈도다나와 마야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9세 때에 출가하여 35세에 득도하였다. 그 후 녹야원에서 다섯 수행자를 교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단을 성립하였다. 45년 동안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하다가 80세에 입적하였다. 우리말샘

주5

대한불교천태종의 종지는 삼제원융・회삼귀일・구원실성에서 개인완성・불국토건설・법성체 결합으로 변경되었다.

주6

삼관의 하나. 우주의 모든 존재는 공(空)한 것으로서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므로, 모양을 분명히 갖춘 것도 실체가 없는 임시적인 존재라는 것이다. 우리말샘

주7

삼혹의 하나. 견사혹(見思惑)과 사혹(思惑)을 끊고도 공리(空理)에 집착하는 번뇌이다. 우리말샘

주8

원융하여 일체의 거리낌이 없는 상태. 우리말샘

주9

자신을 위할 뿐 아니라 남을 위하여 불도를 닦는 일. 우리말샘

주10

주문을 욈. 우리말샘

주11

아무런 탈 없이 평안히 지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