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일고 ()

무주선생일고
무주선생일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홍호의 시 · 소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홍호의 시 · 소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연도는 알 수 없으나, 효종·현종연간(1650∼1674)에 홍호의 아들 홍여하(洪汝河)가 편집·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6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58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9편, 권3에 계(啓) 3편, 제문 8편, 잡저 3편, 권4에 조천일기(朝天日記), 권5에 귀산록(歸山錄) 시 7수, 남귀록(南歸錄) 시 5수, 서행록(西行錄) 시 5수, 조천록(朝天錄) 시 13수, 권6에 부록으로 행장·갈명(碣銘) 각 1편, 제문 2편, 만사 1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상이순찰상거서(上李巡察尙去書)」는 저자가 영변판관(寧邊判官)으로 있을 때, 그곳 관리의 잦은 체직(遞職)과 잡역(雜役)의 고르지 못함을 순찰사에게 알린 편지이다. 소 가운데 「진평안도축성급영변부민폐소(陳平安道築城及寧邊府民弊疏)」에서는 평안도 일대에 성(城)을 쌓아 방위 대책을 강구할 것을 촉구하고, 아울러 영변지방의 민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진경상우도관방이해급안음현민폐소(陳慶尙右道關防利害及安陰縣民弊疏)」에서는 안음현의 민폐를 지적하고, 진주(晉州)에 병영(兵營)을 두는 것이 경상우도의 방위 전략상으로 부당하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논자비총소(論自備銃疏)」는 각 관청의 포수(砲手)들 대부분이 총을 제대로 쏠 줄 몰라 방위 대책에 차질이 많다고 지적하고, 그 개선책을 밝힌 것이다. 포수가 관총(官銃)을 사용하는 경우 유실·파손 등의 위험이 있어 관가에서 총을 자유롭게 내주기를 꺼려하여 마음대로 연습하기가 어려우므로, 제도적으로 각 주(州)·부(府)·군(郡)·현(縣)의 포수들이 개인용 총을 소지하게 하여 평상시의 충분한 연습을 통해 변란에 대비하자는 의견이다. 「논박승종적몰계(論朴承宗籍沒啓)」는 인조반정 후 아들과 함께 자결(自決)한 박승종의 가산을 적몰한 일의 부당함을 강조한 글이다. 박승종은 임금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한 데 대해 죄책감을 느끼고 자결했으니 그 의리로 보아 그를 신원(伸寃)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잡저 가운데 「상우복선생성리절요문목(上愚伏先生性理節要問目)」과 「질언(質言)」에는 저자가 스승인 정경세(鄭經世)에게 성리학에 대한 의문점을 질의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조천일기」는 1632년(인조 10) 7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적은 기행문이다. 「귀산록」과 「남귀록」은 고향에 돌아갈 때 친구로부터 받은 시이고, 「서행록」은 영변판관으로 갈 때의 시이며, 「조천록」은 명나라에 갈 때의 시들을 모은 것이다. 부록의 홍여하가 쓴 장문의 행장은 당시의 사회 사정을 살펴보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심성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