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문신인 윤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7년에 편찬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개항기
간행 시기
개항기
저자
윤직(尹稙)
편자
윤규(尹珪)
권책수
6권 6책
권수제
무수집(無睡集)
판본
필사본
표제
무수집(無睡集)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수집』은 조선 후기 문신인 윤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7년에 편찬한 시문집이다. 본집 6권 3책, 별집 1책, 연보 1책, 부록 1책 등 총 6권 6책의 필사본으로, 표제와 권수제는 동일하게 ‘무수집(無睡集)’이다.

정의
조선 후기, 문신인 윤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7년에 편찬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 윤직(尹稙, 1765~1824)의 자는 성수(成秀), 호는 무수(無睡),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1806년 문음(門蔭)으로 관직에 나아가 의금부 도사, 노성현감(魯城縣監), 영천군수, 한성부서윤 등을 역임하였다.

서지사항

6권 6책(본집 6권 3책, 별집 1책, 연보 1책, 부록 1책). 필사본.

편찬 및 간행 경위

1권 첫머리 하단에 윤직이 짓고, 윤직의 손자인 윤규(尹珪)가 편집, 교정하고 초록하였다고 명기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본집과 별집 등을 합쳐 모두 6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저자가 1821년에 직접 쓴 자서(自序)가 수록되어 있고 각 권마다 목차가 별도로 수록되어 있다. 1책은 권1·2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1에 시(詩) 218수가, 권2에 서(書) 46편이 수록되어 있다. 2책은 권3·4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3에 가장(家狀) 1편, 묘지(墓誌) 1편, 유사 2편, 제문(祭文) 32편이, 권4에 서(序) 3편, 기(記) 5편, 제(題), 발(跋) 14편, 전(傳) 1편, 상량문(上樑文) 3편, 잡저(雜著) 8편이 수록되어 있다. 3책은 권5·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5에 조문(條問) 85편이, 권6에 책문(策問) 22편이 수록되어 있다. 4책부터 6책은 별편(別編)인데, 4책에는 「이요기(二樂記)」 상·하편, 「이정속록(利征續錄)」, 「심도잡록(沁都雜錄)」, 「이원록(梨院錄)」이 수록되어 있다. 5책에는 저자의 연보와 제문이 수록되어 있고, 6책에는 저자의 가장·묘표·묘갈명·묘지명·유사(遺事)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묘갈명은 허전(許傳)이 지었고, 나머지 글들은 모두 손자인 윤규가 지은 것이다. 별편의 「이요기」는 ‘요산요수(樂山樂水)’의 뜻을 딴 것으로, 서울 근교와 한강, 경기·강원·충청도 일대의 산수를 묘사한 것이며, 「이정속록」은 속리산을, 「심도잡록」은 강화도의 풍물을 기록한 것인데, 각각의 명소와 이정 등이 소개되어 있다. 조문은 정조(正祖)『의례』· 『주례』· 『예기』· 『춘추』·『이정전서(二程全書)』·『주자대전(朱子大全)』 등에 대하여 조목조목 질문한 것을 저자가 응답한 내용이며, 책문은 저자 자신이 인물성(人物性)·사단칠정(四端七情)·과거·관방(關防) 등의 주제와 각 경전에서의 문제점 등 30여 항목에 걸친 질의서로서, 저자의 학문적 관심과 깊이를 보여 준다.

현황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규장각에서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도록 온라인으로 원문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무수옹자전(無睡翁自傳)」은 한문학의 한 문체인 자전(自傳)으로서의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이요기」, 「이정속록」, 「심도잡록(沁都雜錄)」, 「이원록」 등은 특정 지역의 역사와 지리, 풍물 등을 기록한 것이기에 인문지리서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논문

이은주, 「무수집 해제」 (『집부선본총서해제』, 규장각)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