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정공신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내용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靖國功臣)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靖社功臣)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朴元宗) · 성희안(成希顔) · 유순정(柳順汀)의 주도로 녹훈되었다.

1등에 박원종 · 성희안 · 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決策翊運靖國功臣)으로, 유자광(柳子光) · 신윤무(辛允武) · 박영문(朴永文) · 장정(張珽) · 홍경주(洪景舟)가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協策翊運靖國功臣)으로 녹훈되었다.

2등에 운수군 효성(雲水君孝誠) · 심순경(沈順經) 등 13인이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으로, 3등에 고수겸(高守謙) · 심정(沈貞) 등 31인이 병충분의정국공신으로, 4등에 변준(卞儁) · 변사겸(邊士謙) 등 65인이 분의정국공신으로 녹훈되었다.

그 뒤 1등 공신 유자광 · 신윤무 · 박영문과 4등 공신 일부가 모역 등의 이유로 삭훈당해, 결국 107인이 남은 듯하나 숫자는 기록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찍부터 과도한 인원을 책록했다는 비판이 있었는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사림의 건의로 1519년(중종 14) 11월 2등 공신 운수군 효성, 3등 공신 심정을 비롯한 76인을 삭훈하였다.

이것이 한 계기가 되어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등은 숙청되고, 같은 해 12월 당시의 삭훈자 전원이 공신호를 회복하였다.

정사공신은 1623년 반정이 성공해 인조가 즉위한 뒤, 같은 해 윤 10월 김류(金瑬) · 이귀(李貴)의 주도로 녹훈되었다. 1등 공신은 김류 · 이귀 · 김자점(金自點) 등 10인, 2등 공신은 이괄(李适) · 이시백(李時白) · 장유(張維) 등 15인, 3등 공신은 이후원(李厚源) · 유백증(兪伯曾) 등 28인이다.

이 중 이괄은 원래 1등에 속했다가 2등으로 내려진데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다고 전해진다. 그 밖에 이홍립은 이괄에게 투항한 죄로, 심기원과 김자점은 모역의 혐의로 삭훈되었다. 정식 공신호는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청선고(淸選考)』
『정사진무량공신등록(靖社振武兩功臣謄錄)』
『대동야승(大東野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