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령 ()

목차
국악
작품
세종대왕 작곡 여민락에서 파생된 관악합주곡 중 하나.
이칭
이칭
여민락령, 태평춘지곡(太平春之曲)
목차
정의
세종대왕 작곡 여민락에서 파생된 관악합주곡 중 하나.
내용

관악 합주곡의 하나.

<여민락령>의 다른 이름으로, <영 令> 또는 <태평춘지곡 太平春之曲>이라고도 한다. <여민락>의 한 갈래에 속하는 음악으로서, 세종 이래로 궁중의 행악(行樂:행사 음악) 및 연례음악으로 사용되어왔다. 이 음악의 기능 및 쓰임새에 대하여는 ≪악학궤범≫ 및 여러가지 의궤에 상세히 전하고 있으며, 음악의 내용은 ≪속악원보≫ 권5와 권7에 각각 관보(管譜)와 방향보(方響譜)가 전한다.

오늘날 연주되는 <본령>은 ≪속악원보≫ 권7에 있는 방향보의 음악 같은 것으로 전 5장 중 초장만을 연주한다. 한국 음악을 향피리 중심의 음악과 당피리 중심의 음악으로 구분할 때, <본령>은 당피리 중심의 음악에 속하며, 음계는 황(黃:c)·태(太:d)·중(仲:f)·임(林:g)·남(南:a)·무(無:bb)로 이루어져 있고(단, 현행의 본령에서는 無射음이 출현하지 않는다), 리듬은 각 마루(숨)의 길이가 불규칙한 부정형의 리듬을 가지고 있다.

또한 32마루로 이루어진 <본령>은 장별 구분이 없이 15∼26째 마루와 27∼28째 마루에 있는 하강종형의 선율에 의하여 잠정적으로 악절이 나누어진다. 악기 편성은 당피리·당적·대금·해금·장구·방향·북 등이 주요 편성악기였는데, 20세기 이후 <본령>은 다른 행악과 마찬가지로 본래 지니고 있던 기능을 잃고 무대용 연주음악으로 정착함에 따라 방향 대신에 편종·편경이 첨가되었고, 편성의 규모도 더 확대되어 연주되고 있다.

한편 <본령>의 제1마루부터 제16마루까지의 선율은 다시 간음(間音)과 연음형식(連音形式) 등을 삽입하여 하나의 독자적인 연주곡으로 독립되었다. 따라서 ‘본래의 가락을 풀어서(解) 연주하는’ <여민락령>과 ‘본래대로 연주하는’ <여민락령>을 구분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다. 그 결과 ‘본가락을 풀어서 연주하는’ <해령>과 ‘본가락대로 연주하는’ <본령>의 악곡명칭이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본래의 악곡명인 <여민락령>보다 <해령>과 구분되는 <본령>이라는 곡명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한국음악』 제16집(김기수, 국립국악원, 1978)
『국악전집』 6(국립국악원, 197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