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 수국사 ( )

불교
유적
조선 세조 대에,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창건된 덕종의 원찰 정인사의 후속 사찰.
이칭
이칭
정인사(正因寺)
유적/건물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국사는 조선 세조 대에,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창건된 덕종의 원찰 정인사의 후속 사찰이다. 덕종의 아내이자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중창 불사를 벌였고 고종대에도 왕실의 후원으로 중건하였다. 수국사에는 불교 미술사 연구의 중요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정의
조선 세조 대에,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창건된 덕종의 원찰 정인사의 후속 사찰.
건립 경위

수국사(守國寺)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북한산 권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 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조선 초인 1459년(세조 5)에 세조는 어린 나이에 죽은 세자 덕종(德宗)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 왕명으로 절을 창건하고 정인사(正因寺)라고 하였다. 1457년 8월 덕종이 죽은 이듬해 원찰을 지어 넋을 위로할 것을 명했고, 착공 1년 만에 수국사가 완공되었다.

변천

1471년(성종 2) 봄에 덕종의 아내이자 성종의 어머니인 주1가 절을 급하게 지어 주2이 좋지 못하다는 이유로 내시부를 시켜 중창하게 했고 내수사에서 쌀과 베를 내어 경비를 후원했다. 2월에 시작하여 10월에 총 119칸의 중창 불사를 완료했는데, 노역에 삯을 주도록 하여 민인들이 앞다투어 공사에 참여했다고 한다. 불사의 주관은 설준(雪峻)이 담당했는데 법당 중창부터 세부 절차까지 조금도 어그러짐이 없이 진행되었다. 단청의 아름다움이 뛰어나 세조의 능침사인 봉선사(奉先寺)와 그 아름다움이 쌍벽을 이루었다고 한다.

1472년 4월 주3에 중창 불사의 완성을 기념하는 낙성 법회를 크게 열었는데, 이때 오색구름이 일고 향기가 절 주위에 가득했으며 상서로운 기운이 하늘로 뻗쳤다. 인수대비는 사찰 운영을 위해 미곡 100섬을 시주했고, 성종도 교지를 내려 이 절 승려들의 잡역을 면제해 주었다. 이후 사찰의 역사와 구체적 상황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선 후기에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된 것으로 보인다.

1900년에 월초 거연(月初巨淵, 1858~1934)고종과 황태자, 80여 명에 달하는 고위 관료의 후원을 받아서 정인사를 이어 수국사를 창건했다. 홍월초로 잘 알려진 거연은 봉선사 출신으로 서울 화계사(華溪寺)의 주지를 했고, 1902년 대한제국 사사관리서 체제에서 서울 부근 사찰을 총괄하는 내산섭리(內山攝理)를 지냈으며 1906년에 불교연구회의 초대 회장과 근대식 불교 교육 기관인 명진(明進) 학교의 교장을 맡은 주4이었다. 이후 어느 때인가 철원 보개산 심원사(深源寺)에 있던 1239년경에 조성된 목조 아미타불상이 이곳에 이안되었다. 1995년에는 법당 안팎을 금으로 개금한 황금보전이 건립되었고 경내에는 대웅전, 관음전, 주5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초에 덕종의 원찰 정인사로 창건된 이래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가졌기에 유명 학자들과 문필가들이 많이 찾아와서 글을 남겼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정인지(鄭麟趾) · 최항(崔恒) · 서거정(徐居正) · 노사신(盧思愼) · 성임(成任) 등이 지은 시가 수록되어 있다. 보물로 지정된 수국사 소장 목조 아미타불상은 불상뿐만 아니라 불복장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또 1907년에 일괄 조성된 아미타불도, 극락구품도 등 불화 6점(서울특별시 무형문화유산)과 1908년에 제작된 괘불화 등 7점의 불화가 전하고 있다. 이는 당시 왕실 후원 불화의 호화로운 면모를 잘 보여주는데, 왕실에서 주6 태자와 태자비, 의친왕과 의친왕비, 영친왕 등의 안녕과 천수를 기원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권상로 편,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수국사의 사원 배치와 불교미술의 재조명』 (한국미술사연구소, 2007)
『봉선사본말사지(奉先寺本末寺志)』 (아세아문화사, 1978)
『고양군지(高陽郡誌)』 (고양군, 1987)

논문

김정희, 「조선말기 왕실발원 불사와 수국사 불화」 (『강좌미술사』 3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8)
주석
주1

조선 덕종의 비 소혜 왕후를 대비로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목조의 건축물ㆍ기구 따위를 만드는 데 쓰는 나무. 우리말샘

주3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4월 8일로 석가모니의 탄생일이다. 이날에는 파일등을 단다. 8일 및 9일의 이틀 밤에는 집집마다 여러 가지 모양의 등에 불을 켜 달고 그 아래서 물장구를 치거나 풍악을 하고, 딱총과 불놀이를 하며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 만든 시루떡과 검정콩을 쪄서 먹는다. 우리말샘

주4

덕이 높은 승려. 우리말샘

주5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6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빌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