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악절창사 ()

목차
국악
작품
궁중 정재를 출 때 특정한 가락을 따라 노래(詞)를 부르는 것, 또는 이와 같은 형식으로 연행하는 악곡.
목차
정의
궁중 정재를 출 때 특정한 가락을 따라 노래(詞)를 부르는 것, 또는 이와 같은 형식으로 연행하는 악곡.
내용

정재가 성행하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정재의 전통과 함께 수악절창사의 전통이 잘 지켜졌으므로 「오양선정재」등의 춤에서 그 예를 많이 찾을 수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오직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에만 「수악절창사」가 따른다.

이 창사는 향악화된 「관악보허자」에 맞추어 부르는데 전단 7구는 초장의 선율에, 후단 7구는 2장의 선율에 각각 얹어 부른다. 윤용구(尹用求)가 지은 『국연정재창사초록(國讌呈才唱詞抄錄)』에 의하면, 사설면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단의 끝 구절인 ‘미미류’가 ‘세세류(細細柳)’로, 후단 ‘노채의’가 ‘구여송(九如頌)’으로 바뀌었다. 오늘날은 조선 후기에 변화한 『국연정재창사초록』을 따르고 있다.

참고문헌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국연정재창사초록』(윤용구, 1901)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