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의 재위 기간인 1800년 7월부터 1834년 11월까지 34년 5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대한 역사를 다루고 있다. 34권(부록 2권 포함) 36책. 활자본. 정식 이름은 ‘순종연덕현도경인순희문안무정헌경성효대왕실록(純宗淵德顯道景仁純禧文安武靖憲敬成孝大王實錄)’이다.
『순종대왕실록』 본문은 순조 재위 34년 5개월 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것이고, 부록은 왕의 행록(行錄) · 시책문(諡冊文) · 애책문(哀冊文) · 비문(碑文) · 지문(誌文) · 시장(諡狀) · 행장(行狀) · 천릉비문(遷陵碑文) · 천릉지문(遷陵誌文)을 수록한 것이다. 1835년(헌종 1) 5월에 편찬을 시작해 1838년 윤4월에 완성했으며 인쇄한 후 각 사고에 봉안하고, 시정기(時政記) · 초초(初草) · 중초(中草)를 세초(洗草)하였다.
원래 ‘순종대왕실록’이라고 표시한 것은 순조의 원 묘호(原廟號)가 순종이기 때문이며, 1857년(철종 8) 8월에 묘호를 순조로 추존한 까닭에 ‘순조실록’으로 개칭하게 되었다. 본래는 부록이 1책이었으나, 1865년(고종 2) 윤5월 『철종실록』 편찬 때 추가 편찬해 2책이 되었다.
편찬에 관계한 실록청 당상관은 다음과 같다. 총재관(摠裁官)에 이상황(李相璜) · 심상규(沈象圭) · 홍석주(洪奭周) · 박종훈(朴宗薰) · 이지연(李止淵), 도청당상(都廳堂上)에 신재식(申在植) · 조인영(趙寅永), 각방당상(各房堂上)에 조만영(趙萬永) · 홍희준(洪羲俊) · 김이재(金履載) · 서준보(徐俊輔) · 김로(金鏴) · 김학순(金學淳) · 김난순(金蘭淳) · 이익회(李翊會) · 홍경모(洪敬謨) · 박회수(朴晦壽) · 서희순(徐憙淳) · 김매순(金邁淳) · 이가우(李嘉愚) · 서경보(徐耕輔) · 김유근(金逌根) · 정원용(鄭元容) · 권돈인(權敦仁) · 서유구(徐有榘) · 정기선(鄭基善) · 이헌기(李憲琦) · 박영원(朴永元) · 김홍근(金弘根), 교수당상(校讐堂上)에 이헌위(李憲瑋)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