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정전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경희궁 숭정전 정면
서울 경희궁 숭정전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경희궁의 정전이었던 궁궐건물.
이칭
이칭
경희궁숭정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희궁 숭정전(慶熙宮 崇政殿)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궁궐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92-5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경희궁의 정전이었던 궁궐건물.
내용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기와지붕건물.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래 경희궁의 정전(正殿)이었는데 민족항일기인 1926년 현 위치로 옮겨져 현재 정각원(正覺院)이라는 법당으로 쓰이고 있다.

일본인들이 강제로 철거하여 팔아 넘긴 탓으로 원형이 크게 파손되었고, 교실 · 체육관 등으로 사용되면서 많이 변형되었다. 현재는 불교식 의례를 행하기에 알맞도록 내부가 변경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1가에 있는 원래의 터에는 현재 기단부와 전계석(殿階石)이 남아 있는데, 위아래 2단으로 되어 있던 월대 가운데 상월대(上月臺)가 파손되었고, 기단 석축도 헐고 나서 다시 쌓은 것이다.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고 정령(政令)을 반포하던 곳인 만큼 남향으로 놓였으며, 경희궁 안에서는 가장 크고 화려하게 지어진 장엄한 건물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주위에는 사방에 행각(行閣)을 두르고 앞뜰에는 돌을 깔고 품계석을 세웠다. 2중 기단 위에 둥글게 다듬은 주춧돌을 앞면에 6개, 옆면에 5개 배열하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워 가로 5칸, 세로 4칸 규모로 평면을 구성하였다.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놓고 평방(平枋)없이 창방(昌枋)을 얹었으며, 기둥이 있는 바로 위쪽에만 공포(栱包)를 배열한 다포계(多包系) 주심포식(柱心包式)건물이다.

공포의 밖은 이출목(二出目)으로서 포작(包作)으로 되어 있고, 안쪽은 전부 보머리 모양으로 처리되어 있다. 기둥 사이에는 공포 대신 화반을 놓아 장여를 받쳤고 장여 위에 바로 도리를 얹었다. 천장은 소란반자로 마감하였고 한복판에 움푹 들어가게 조정(操井)천장을 만들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용마루에 취두(鷲頭), 합각마루에 용두(龍頭), 추녀마루에 잡상(雜像)을 두루 갖추고 있어 대궐의 정전다운 품격을 갖추고 있다.

1617∼1620년 사이에 경희궁을 창건할 때 지어진 건물로서 창경궁 명정전과 함께 조선 중기의 목조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현재 경희궁터 일곽에 원래의 숭정전 건물을 그대로 모방한 새 숭정전이 건립되고 그 일곽 건물도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궁궐지(宮闕志)』(숙종대)
『서궐도안(西闕圖案)』
『서울육백년사(六百年史) -문화사적편(文化史蹟篇)-』(서울특별시, 1987)
『서울특별시사(特別市史) -고적편(古蹟篇)-』(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