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때 들어온 당악기이다. 『고려사』 악지 당악기조에 보이며, 7줄로 되어 있고 해금과 함께 줄을 문질러 연주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그 이전에는 당악에만 쓰였으나, 성종 당시에는 향악에 아울러 사용하였다.
거문고와 같이 운두가 얕고 상자식으로 짜서 만든다. 거문고와 다른 점은 따로 머리편을 괴는 발(足) · 운족(雲足) · 담괘(檐棵), 그리고 담괘 뒤판의 모양, 줄 매는 법 등을 들 수 있다. 저음악기로서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까닭에 지속음을 가질 수 있고, 활은 개나리가지의 껍질을 벗기고 송진을 칠하여 사용한다.
조현법(調絃法)은 『악학궤범』에 세 가지가 도시되어 있다(표 1). 현재의 조현법에도 당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의 평조와 향악을 연주할 때의 평조, 계면조 등 세 가지가 있다(표 2). 『악학궤범』과 비교하면 현재의 조현법은 당악조에 있어서는 변함이 없고, 향악조에 있어서는 평조와 계면조가 모두 달라져 있다.
絃順 | 第一絃 | 第二絃 | 第三絃 | 第四絃 | 第五絃 | 第六絃 | 第七絃 | 備考 | ||||||||||||
---|---|---|---|---|---|---|---|---|---|---|---|---|---|---|---|---|---|---|---|---|
區分 | ||||||||||||||||||||
唐樂調 | 散形 | 下五 黃 | 下 | 太, 夾 | 下 | 仲, 蕤 | 上 | * | 下 | 南, 無 | 宮 | 潢 | 上汰, 浹, 一㳞 | *표 主意 | ||||||
四 | 三 | 三 | 一 | |||||||||||||||||
下 | 林 | 上 | ||||||||||||||||||
二 | 二 | |||||||||||||||||||
(C) | (D, D♯) | (F, F♯) | (G) | (A, A♯) | (C) | (d, d♯, f ) | ||||||||||||||
鄕樂調 | 平調 | 下 | 下 | 下 | 下 | 下 | 宮 | 上 | 上 | 上 | ||||||||||
五 | 四 | 삼 | 二 | 一 | 一 | 二 | 三 | |||||||||||||
界面調 | 下 | 下 | 下 | 下 | 宮 | 下 | * | 上 | 上 | 上 | *표 主意 | |||||||||
四 | 三 | 二 | 一 | 五 | 一 | 二 | 三 | |||||||||||||
〈표 1〉 악학궤범의 조현법 | ||||||||||||||||||||
*주: 樂學軌範 卷7 牙箏條. |
絃順 | 第一絃 | 第二絃 | 第三絃 | 第四絃 | 第五絃 | 第六絃 | 第七絃 | 備考 | |
---|---|---|---|---|---|---|---|---|---|
區分 | |||||||||
唐樂 | 平調 | 黃 | 太 | 仲 | 林 | 南 | 黃 | 太(仲) | 太(d)를 力按하여 仲(f)을 낸다. |
(C) | (D) | (F) | (G) | (A) | (c) | (d,f) | |||
界面調 | |||||||||
鄕樂 | 平調 | 仲 | 林 | 南 | 黃 | 太 | 仲 | 林(南) | 林(B♭)를 力按하여 南(C)을 낸다. |
(A♭') | (B♭') | (C) | (E♭) | (F) | (A♭) | (B♭, C) | |||
界面調 | 林 | 南 | 無 | 黃 | 太 | 仲 | 林(南) | 上同 | |
(B♭') | (C) | (D♭) | (E♭) | (F) | (A♭) | (B♭, C) | |||
〈표 2〉 현재의 조현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