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조성청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제도
조선 후기 악기제작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관청.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악기제작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였던 관청.
내용

이것은 1682년(숙종 8) 종묘 영녕전에 쓸 방향(方響)을 만들려고 처음 설립하였고, 1710년 전정헌가(殿庭軒架)의 편종과 편경의 제작을 위해서 다시 설치하였다.

1744년(영조 20)창덕궁(昌德宮)의 화재로 타버린 악기를 다시 만들려고 인정전(仁政殿) 악기조성청이 설치되었는데, 이 때 편종 2틀, 편경 2틀, 어(敔)·축(柷)·건고(建鼓)·응고(應鼓)·삭고(朔鼓) 각 1개씩 제작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에는 경모궁(敬慕宮) 악기조성청이 설립되어 여러 가지 악기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이 때 신득린(申得麟)과 임성주(林成柱)가 감조전악(監造典樂)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1803년(순조 3)사직고(社稷庫)의 화재로 인하여 새로 악기를 만들려고 사직악기조성청이 설치되었으며, 이때 신광삼(申光三)·김응삼(金應三)·박보완(朴輔完)이 감조전악으로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악장등록연구(樂掌謄錄硏究)』(송방송,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한국음악사』(장사훈, 정음사,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