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고 ()

목차
관련 정보
대고
대고
국악
물품
신라시대부터 연주된 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부터 연주된 북.
내용

북 종류의 하나. 우리 나라에는 이미 신라시대 삼현(三絃)·삼죽(三竹)·박판(拍板)과 더불어 대고(大鼓)가 있었고, 1114년(예종 9) 송나라에서 신악기(新樂器)가 들어왔을 때 방향(方響) 등과 함께 대고 1면(面)이 끼어 있었다.

이름 그대로 큰북이었던 것은 이 때 장구가 20면이나 왔는데 대고는 겨우 1면뿐인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 전래된 대고는 큰 독 모양의 대고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1430년(세종 12) 박연(朴堧)의 상소에 “이제 아악(雅樂)의 대고는 이 북(현고, 진고)을 모방하여 만든 것인 듯하다.”고 말한 점으로 보아 분명하다. 대고와 진고(晉鼓)는 거의 비슷한 모양의 악기로 서로 혼동하여 사용되어왔다.

그러기에 현행 종묘 제의에서 아헌(亞獻)을 시작할 때 먼저 진고 10통(通)을 치고 음악이 시작되는 것과, 성종 때 향악정재(鄕樂呈才) 정대업(定大業)을 추기에 앞서 대고 10통을 치면 음악이 소무(昭武)를 연주하는 절차에서도 대고와 진고는 같은 계열의 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전통적인 대고는 전하지 않으며, 1960년대 국립국악원에서 제작한 대형 좌고를 대고라고 부르고 있다. 한편,『악학궤범』에 의하면 정대업정재에서 의물(儀物)로 사용된 대고는 크기가 훨씬 작고 고리에는 줄을 달았다.

고(鼓)는 쇠가죽을 쓰고, 나무로 북통을 만들어 그 통을 칠포(漆布)로 싸고 붉은 칠을 한 다음 모란을 그렸다. 두정(頭釘)과 고리(圓環)에는 모두 도금하고 홍색 명주실로 만든 영자(纓子)를 달았으나, 제향에 쓰는 것은 도금하지 않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국역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