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 ()

목차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이칭
이칭
우조편삭대엽(羽調編數大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의 하나.
내용

우조의 음계로 부르는 편장단의 가곡으로, 우조편삭대엽(羽調編數大葉)이라는 말을 줄인 우편(羽編)이라는 곡명이 붙여졌다. 남창으로만 불리고 음계는 황(黃)·태(太)·중(仲)·임(林)·남(南)의 평조선법(平調旋法)인 5음의 우조로 되어 있고, 종지음은 탁태주(㑀)이다.

5장과 대여음(大餘音)·중여음(中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10점(點) 10박(拍)의 변형된 가곡 장단을 사용한다. 노래말은 시조시를 사용하는데 3장과 5장이 확대되어 불리기도 한다.

하규일(河圭一) 전창(傳唱)으로 「봉황대상(鳳凰臺上)」·「산하천리국에」·「건곤이」의 3곡이 있다. 이중 「산하천리국에」의 노래는 「처용무(處容舞)」의 창사(唱詞)로 부르고, 가락은 노래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가장 널리 불리는 곡의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봉황대상 봉황유(鳳凰臺上鳳凰遊)러니,

(2장) 봉거대공 강자류(鳳去臺空江自流)로다.

(3장) 오궁화초 매유경(吳宮花草埋幽境)이요,

진대의관 성고구(晉代衣冠成古丘)라

삼산반락 청천외(三山半落靑天外)요,

이수중분 백로주(二水中分白鷺洲)로다.

(4장) 총위부운 능폐일(總爲浮雲能蔽日)하니,

(5장) 장안 불견사인수(長安不見使人愁)를 허더라.

「태평가」를 제외한 다른 가곡들과 마찬가지로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독창으로 부른다. 대여음이 전주로 사용되고, 한배는 1분 70정간(井間)이다.

보통 「언락(言樂)」 다음에 오는 「편락(編樂)」 대신에 부르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편삭대엽 이하의 계면조(界面調)의 곡조는 생략되고 만다.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에 악보로 전한다.

참고문헌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남창가곡백선(男唱歌曲百選)-』(김기수, 은하출판사, 1979)
「가곡의 연구」(장사훈, 『한국음악연구』 5, 한국국악학회,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