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낭산산성 ( )

건축
유적
국가유산
백제의, 산성,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의 낭산 정상부에 위치한 석성.
이칭
이칭
마한성(馬韓城), 구성(舊城), 북성(北城)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백제
높이
4~5m
둘레
870m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시도기념물(1973년 06월 23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익산 낭산산성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의 낭산 정상부에 있는 백제 석성이다. 낭산은 해발 162m의 나지막한 구릉으로, 산성은 낭산의 정상부에서 중복(中腹)에 걸쳐 삼태기형으로 축조되었다. 이 산성은 일찍부터 마한성(馬韓城)으로 불려왔고, 지표 조사에서 백제 토기편 등이 수습되어 백제의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동문지, 남문지, 북문지 등이 있고, 우물지와 건물지도 남아 있다. 성벽 바깥쪽으로 외황(外隍)도 확인된다.

정의
백제의, 산성,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의 낭산 정상부에 위치한 석성.
발굴 경위 및 결과

익산 낭산산성(益山 郎山山城)은 『익산군지(益山郡誌)』에 마한성(馬韓城)으로 나온다. 지표 조사에서 백제 토기편 등이 수습되어 일반적으로는 백제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에 산성의 축조 시기와 성격, 그리고 정비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습득할 목적으로 남문지 주변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건립 경위

익산 낭산산성의 축조 목적이나 축조 시기, 축조 배경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축조 경위는 알 수 없다. 다만 산성이 위치한 곳이 여량현(礪良縣)과 낭산현(郎山縣)이 합쳐져서 여산군(礪山郡)이 된 곳인 만큼, 축조 목적이나 배경은 이 지역의 지방 통치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형태와 특징

익산 낭산산성은 해발 162m의 나지막한 낭산 정상부와 서쪽 계곡부를 에워싼 산성이다. 전체 성벽의 둘레는 870m이며, 남쪽 4000m 지점에 익산 미륵산이 자리한다. 성벽은 자연 할석을 이용하여 쌓아올렸다.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성을 쌓고자 하였으나 성돌을 일정한 모양으로 가공한 것이 아니어서 정연한 바른층쌓기가 되지는 못하였다. 아울러 남문지 주변의 경우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데, 경사면과 평행하게 성벽을 쌓아 올린 것이 특징이다. 남문지의 서쪽 성벽은 동쪽 성벽에 비해 지형이 낮기 때문에 적갈색 사질 점토(沙質粘土)를 깐 다음 그 위에 돌을 쌓았다.

산성과 관련된 부대시설로는 성문과 건물지, 우물터, 수구지(水口址) 등을 들 수 있다. 문지는 동문지, 남문지, 북문지가 남아 있다. 동문지와 북문지는 어긋문 형태를 하고 있는데 비해 남문지는 개거식 성문 형태를 하고 있다. 성벽 바깥쪽으로는 마른 해자, 즉 외황(外'隍)이 동, 북, 서 사면의 성벽을 감싸며 둘러 있다. 남벽쪽은 급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자를 만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발굴 조사를 통해 남문지와 그 주변에서 삼족토기편 등 백제~조선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익산 낭산산성은 여산군 관내에 자리하고 있는 산성으로 낭산현과 관련된 산성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여산군 관내에 낭산폐현(郎山廢縣)과 피제부곡(皮堤部曲), 공촌부곡(公村部曲) 등이 있었다고 한다. 낭산산성은 이러한 군현(郡縣)이나 부곡의 통치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
『익산군지(益山郡誌)』

단행본

『문화 유적 분포 지도-익산시-』(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98)
『익산 낭산산성 남문지 발굴 조사 보고서』(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익산군 문화재 지표 조사 보고서』(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