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겸와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자겸와문집
자겸와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대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대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904년 아들 병울(秉蔚)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용원(李容元)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전우(田愚)·이철영(李喆榮)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감춘부(感春賦)」·「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화추풍사(和秋風辭)」 등 부 4편, 「차주자반초은조(次朱子反招隱操)」·「풍수이규하북계최석능수홍수연(風樹二閨賀北溪崔石能壽洪晬筵)」 등 사(詞) 2편, 「목우유감(牧牛有感)」·「송김숙현(送金叔賢)」·「납야(臘夜)」 등 시 19수,

권2에 「청황묘복향소(請皇廟復享疏)」·「효부김씨원정소(孝婦金氏原情疏)」 등 소 2편, 「상고산임선생서(上鼓山任先生書)」·「여면암최공(與勉菴崔公)」·「여전자명우(與田子明愚)」 등 서(書) 31편,

권3에 「독락헌문답(獨樂軒問答)」·「주인자계(主人自戒)」·「중용강의(中庸講義)」·「대학강의(大學講義)」 등 잡저 22편,

권4에 「주문선요서(朱文選要序)」·「예해절요서(禮解節要序)」·「동사촬요서(東史撮要序)」 등 서(序) 5편, 「의장기(義庄記)」·「창벽정강회기(蒼壁亭講會記)」·「삼한재기(三恨齋記)」 등 기 9편, 「유성문헌록발(儒城文獻錄跋)」·「인계유공유고발(仁溪柳公遺稿跋)」 등 발 3편, 「상시론(傷時論)」·「군자이도사군론(君子以道事君論)」 등 논 2편, 잠(箴) 1편, 「자찬(自贊)」·「의대관건구찬(衣帶冠巾屨贊)」·「검속명성사자찬(檢束明誠四字贊)」·「역찬(易贊)」 등 찬 4편, 「종손기설혼서(從孫基卨婚書)」 등 혼서 2편,

권5에 「제고산선생문(祭鼓山先生文)」·「제삼한재이공경문(祭三恨齋李公鏡文)」 등 제문 15편, 「족조돈천공묘지명(族祖遯泉公墓誌銘)」 등 묘지명 3편, 「자제광지(自製壙誌)」 등 광지 2편, 「유인조씨행장(孺人趙氏行狀)」 등 행장 5편, 「경원부사증병조판서유공충의전(慶源府使贈兵曹判書柳公忠義傳)」의 전 1편,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청황묘복향소」은 1874년(고종 11)에 지은 것인데, 이 소를 올리기 전에 복향하라는 전교가 내렸다. 서(書)는 대개 짧고, 학문에 대해 깊이 있게 논란한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잡저의 「독락헌문답」은 독락헌이라는 이름에 대한 설명과 심의(深衣)에 대한 해설 및 선비의 행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종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