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영조 ‧ 정조 연간 소론계 인물로, 설서, 승지, 지평, 정언, 장령, 대사간 등을 지낸 문신.
이칭
성종(聖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0(숙종 36)
사망 연도
1767(영조 43)
본관
동래(東萊)
주요 관직
설서|장령|대사간|승지
관련 사건
임오화변(壬午禍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순검은 조선 후기, 영조 ‧ 정조 연간 소론계 인물로, 설서, 승지, 지평, 정언, 장령, 대사간 등을 지낸 문신이다. 첫 번째 부인이 반남 박씨 박태보(朴泰輔)의 손녀딸이자 박필모(朴弼謨)의 딸이다. 이종성, 윤광소 등과 정치적 활동을 함께 하였다. 1762년(영조 38) ‘임오화변(壬午禍變)’ 때 승지를 역임하였는데, 영조가 크게 노하여 세자에게 죽음을 명하자, 영조의 명을 받들 수 없다고 한 일이 있었다. 분의를 다하였던 공으로 1789년(정조 13)에 이조참판으로 추증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영조 ‧ 정조 연간 소론계 인물로, 설서, 승지, 지평, 정언, 장령, 대사간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조선 후기 문신으로, 1710년(숙종 36)에 태어나 1767년(영조 43)에 죽었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종(聖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재한(鄭載漢)이고, 할아버지는 정복선(鄭復先)이다. 아버지 정석원(鄭錫遠)과 경주 김씨 김종연(金宗衍)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첫 번째 부인은 반남 박씨 박태보(朴泰輔)의 손녀딸이자 박필모(朴弼謨)의 딸이고, 두 번째 부인은 전주 이씨 이광주(李匡周)의 딸이다. 아들은 정동익(鄭東翼)이다.

주요활동

1735년(영조 11)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1738년(영조 14)에 설서(說書), 1745년(영조 21에) 정언에 제수되었다. 1748년(영조 24)에 부교리 재직 시절 송덕중(宋德中)이 이종성(李宗城)을 논척한 일에, 이종성을 보호하며 송덕중을 논척하였다가 어면만호(魚面萬戶)로 좌천되었다.

차대의 자리에서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와 옥당(玉堂) 윤광소(尹光紹)가 영조에게 정순검의 건강상의 사정을 말해서 어면만호에서 체차되었다. 1755년(영조 31)에 장령(掌令), 1756년(영조 32)에 수찬(修撰) · 사간(司諫) · 집의(執義) 등을 역임하고, 1761년(영조 37)에 대사간(大司諫)에 이르렀다.

1762년(영조 38) ‘ 임오화변(壬午禍變)’ 때 승지(承旨)를 역임하였는데, 영조가 크게 노하여 세자에게 죽음을 명하자, 명을 받들 수 없다고 하였다가 파직되었다. 1789년(정조 13)에 이조판서 김종수(金鍾秀)가 분의를 다하였던 신하들을 추념해야 한다며 품계에 따라 증직하기를 건의하여,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몽오집(夢梧集)』
『소곡유고(素谷遺稿)』
『쌍계유고(雙溪遺稿)』
『영조실록(英祖實錄)』
『오천집(梧川集)』
『정조실록(正祖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