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은사 영산회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구례 천은사 영산회상도
구례 천은사 영산회상도
회화
작품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천은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천은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15년(숙종 41) 작.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162.5㎝, 가로 186㎝. 1693년(숙종 19)에 제작된 흥국사의 영산회상도와 비슷하게 가로로 약간 넓은 화면을 이루고 있는데 배치구도와 협시들의 수도 비슷한 편이다.

물론 본존의 머리 좌우에 각 셋씩 묘사된 화신불이 없어진 대신 6대제자에서 10대제자로 증가되는 등 약간의 변화가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화면에 비해서 본존불은 상당히 작게 그려진 셈인데 흰 바탕에 붉은 테두리를 한 이 본존불은 육계·나발·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착의(着衣)한 체구 등 기본형태는 흥국사불화의 본존과 비슷하지만 얼굴이 수척해지고 눈꼬리가 치켜올라간 점, 좌우가 불균형을 이루고, 다소 세장(細長)해진 체구 등은 원만한 흥국사상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광배 중간 테두리의 정교한 영락(瓔珞)장식이나 승각기 상단깃의 치밀한 무늬 등과는 달리 머리칼을 뭉글뭉글하게 표현한 거친 붓질은 특히 주목되는 점이다. 본존불의 원만하지 못한 세장성이나 도식적인 날카로움은 보살상을 비롯한 기타 협시상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빛이 바래버린 이 불화는 고상한 품격이 줄었을 뿐 아니라 본존대의와 광배의 강렬한 붉은 색으로 원색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어서 형태와 함께 불화의 격을 다소 떨어지게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6 -조선불화(朝鮮佛畵)-(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