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욱 ()

최인욱(1920-1972)
최인욱(1920-1972)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초적」, 「임꺽정」, 「태조왕건」 등을 저술한 소설가.
이칭
이칭
상천(相天), 하남(河南)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0년
사망 연도
1972년
출생지
경상남도 합천
정의
해방 이후 「초적」, 「임꺽정」, 「태조왕건」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개설

본명은 상천(相天). 호는 하남(河南). 경상남도 합천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해인불교전문학원(海印佛敎專門學院) 고등과를 졸업하고, 1938년『매일신보(每日申報)』 신춘문예에 단편 「시들은 마음」이 입선하였다. 이듬해 단편 「산신령(山神靈)」이 『매일신보』에 당선되었고, 「월하취적도(月下吹笛圖)」를 『조광(朝光)』에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1년니혼대학(日本大學) 종교과를 중퇴하였으며, 경성전기공업학교(京城電氣工業學校) 교사(1949), 국방부 편수관(1950), 한국문학가협회 중앙위원(1955), 서라벌예술대학·중앙대학교 강사 등을 역임하였다. 1957년 한국자유문학가협회 중앙위원, 1966년 한국문인협회 이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동양적인 토속세계와 서정에 바탕을 둔 작풍을 보였으나, 차츰 대중적 요소가 가미된 장편 역사물에 기울어졌다.

데뷔작 「산신령」이나 「월하취적도」는 당시 문단의 복고적 민속풍물의 경향을 반영한 작품으로, 경직된 사회와 외래적 문화 충격으로부터의 인간성 회복이나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한 것으로 평가된다. 「초적(草笛)」(1961)은 그의 대표적 장편 역사소설로 동학혁명을 소재로 탐관오리의 횡포와 이에 항거하는 민중들의 투쟁을 다룬 것이다.

「임꺽정(林巨正)」(1962) 또한 조선 후기의 민중의식의 대두를 배경으로 사실(史實)에 충실한 과거 사실의 재현에 힘썼던 대표적 역사물이다. 「개나리」(1948)·「설한기(雪寒記)」(1950)·「벌레먹은 장미」(1953)·「야경(夜警)」(1955) 등의 단편과 「애정지도(愛情地圖)」(1957)·「화려한 욕망」(1958)·「만리장성(萬里長城)」(1967)·「자규(子規)야 알랴마는」(1968)·「태조왕건(太祖王建)」(1968) 등 수많은 단편과 애정물·역사물을 남겼다.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장편 소년소설 「일곱별 소년」(1954)을 비롯, 「신문 파는 소년」(1948)·「운동화」(1952)·「푸른 계단(階段)」(1954)·「눈 온 아침」(1952)·「쥐와 뱀」(1956) 등의 동화를 썼으며, 『고문진보(古文眞寶)』(1954)·『요재지이(聊齋志異)』(1966) 등의 번역서를 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역사소설과 역사의식」(백낙청, 『창작과 비평』봄호, 1967.2.)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