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전투 ()

고려시대사
사건
1253년(고종 40), 몽골의 제5차 침입 때 충주성(忠州城)에서 승리를 거둔 전투.
이칭
이칭
충주성전투(忠州城戰鬪)
사건/전쟁
발발 시기
1253년(고종 40)
종결 시기
1253년(고종 40)
발발 장소
충주(忠州)
관련 국가
몽골
관련 인물
김윤후(金允侯)|야굴(也窟)
내용 요약

충주전투는 1253년(고종 40) 몽골의 제5차 침입 때 충주성(忠州城)에서 승리를 거둔 전투이다. 몽골군이 고려의 남부 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충주성을 반드시 점령해야 했던 반면, 고려 또한 이를 저지해야 할 명운이 걸린 전투였다. 충주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김윤후(金允侯)라는 뛰어난 장수의 활약과 일반 민의 적극적인 협력 덕분이었다. 이를 계기로 충주가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

정의
1253년(고종 40), 몽골의 제5차 침입 때 충주성(忠州城)에서 승리를 거둔 전투.
배경 및 발단

1253년(고종 40) 10월 몽골의 장수 야굴(也窟: 예쿠, 에구, 야쿠)은 아무간(阿母侃, 아무칸)과 홍복원(洪福源) 등을 거느리고 고려에 대거 침입하여, 대동강을 건너 동주(東州) · 춘주(春州) · 양근(楊根) · 양주(襄州: 지금의 강원도 양양) 등지를 짓밟은 이후 충주성(忠州城)을 포위하였다.

경과 및 결과

이때 충주성의 수장인 방호별감(防護別監)은 앞서 처인성(處仁城)에서 몽골의 장수 살리타이[撒禮塔]를 사살하여 큰 공을 세운 낭장(郎將) 김윤후(金允侯)였다. 몽골 군대가 70여 일 동안 충주성을 포위하고 공격하였으나, 충주의 관민들은 힘을 합쳐 굳게 지켜 적을 고전 속에 빠뜨렸다.

그러나 포위 당한 날이 모두 70여 일이나 되어 군량이 거의 고갈되어가자 사기가 떨어지므로, 김윤후는 사졸들을 독려하여 이르기를 “이 싸움에서 승리만 하면 귀천(貴賤)을 가리지 않고 모두 주2을 내리겠다.”라고 하며, 주3주4을 불살라 믿음을 보이고 또 노획한 소와 말을 나누어 주었다. 이에 사람들이 모두 죽기를 맹세하여 싸웠다. 결국 그해 12월에 몽골군은 충주성을 포위한 지 70여 일 만에 그대로 물러갔으며, 더는 남쪽으로 내려가지 못하였다.

의의 및 평가

충주전투의 승리는 몽골군의 남진을 좌절시킴으로써 경상도 지역에 대한 전쟁 피해의 확대를 막았으며, 몽골이 화의(和議)를 명분 삼아 서둘러 철군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이 전투는 민중의 항전 의지와 훌륭한 지도력이 결합하여 승리로 이끌 수 있었음에 큰 의의가 있다. 그 공로로 김윤후는 감문위(監門衛)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으며, 충주가 그 이듬해에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신안식,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경인문화사, 2002)
윤용혁, 『고려대몽항쟁사연구』(일지사, 1991)

논문

김호준, 「고려 대몽항쟁기 김윤후장군의 3차례 승전의 의의」(『백산학보』 114, 백산학회, 2019)
신안식, 「대몽항쟁기 민의 동향」(『역사와 현실』 7, 한국역사연구회, 1992)
윤용혁, 「13세기 몽고의 침략에 대한 호서지방민의 항전」(『호서문화연구』 4,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984)
주석
주1

화해(和解)하는 의론. 우리말샘

주2

관직(官職)과 작위(爵位)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관가에 속하여 있던 노비. 우리말샘

주4

관아의 장부와 문서.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고려시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