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방패독산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의 소양상풍증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양인의 소양상풍증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양인비수한표한병론(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에 수록되어 있다. 소양인은 비대신소(脾大腎小)한 체질적인 특성이 있다. 또한 표음(表陰)이 하강하지 못하고 배려(背膂:등뼈)의 사이에 몰려 울체(鬱滯:쌓임)되기 쉬우므로 이 때에 외부로부터 한사(寒邪)가 침범하면 비수한표한병이 생긴다. 이와 같이 표음이 배려의 사이에 울체된 것을 소양상풍증이라 하고, 또한 병이 심해져 대장에까지 영향이 미치면 주1이 된다.

처방의 구성은 강활(羌活) · 독활(獨活) · 시호(柴胡) · 전호(前胡) · 형개(荊芥) · 방풍(防風) · 복령(茯苓) · 주2 · 주3 · 주4 각 3.75g으로 되어 있으며, 적응증은 소양인의 태양병증(太陽病症)이나 소양병증(少陽病症)으로 오는 두통, 한열왕래(寒熱往來)한 증세 및 풍비(風痱) · 어해적(魚蟹積) · 과채적(果菜積) · 학질 · 풍담(風痰) · 한담(寒痰) · 치통 · 족병(足病) · 치루(痔瘻) · 옹저초증(廱疽初症) · 구흉(龜胸) · 구배(龜背) · 오경(五硬) 등이 있다.

이 처방은 원래 원나라 때 공신(龔信)이 시기한열(時氣寒熱:때에 따라 뜨거웠다 차거웠다 함) 두통을 치료하기 위하여 만든 처방인데, 이제마가 여기서 인삼 · 지각(枳殼) · 주5 · 천궁(川芎)을 빼고 생지황 · 지골피 · 차전자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이제마가 이와 같이 처방을 변화시킨 것은 소양인은 비대신소하므로 왕성한 화(火)의 세력 때문에 음기(陰氣)가 하강하지 못하고 배려간에 응체(凝滯)하여 있기 때문에 만병(萬病)을 일으키게 되므로, 목적이 외적인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데 있다고 하더라도 양승음강(陽升陰降)의 작용을 정상적으로 해결하지 않고서는 사기가 물러갈 수 없는 것으로 본 것이다.

따라서, 우선 사심화(瀉心火)하고 청폐금(淸肺金)함으로써 상역(上逆)하는 심비(心脾)의 혈(血)을 다스리면서 해울화(解鬱火)하는 생지황으로 흉격(胸膈:가슴과 배 사이)의 화(火)를 평정하고, 폐간(肺肝)의 풍열(風熱)을 방광으로 내보내면서 고정익음(固精益陰:정력을 강하게 하고 음기를 도움)하는 차전자를 써서 화를 내보내도록 하고, 또 폐중(肺中)의 복화(伏火)와 간신(肝腎)의 허열(虛熱)과 내외조열(內外潮熱)을 물리치는 지골피를 써서 보음강화(補陰降火)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염태환, 행림서원, 1974)
주석
주1

몸의 진액이 몹시 소모된 병. 열이 심하거나 땀을 지나치게 흘리거나 만성 소모성 질병을 앓을 때 생긴다. 우리말샘

주2

구기자나무 뿌리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과 해수, 객혈, 소갈증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3

익히지 아니한 지황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이 차서 해열 작용이 뛰어나며 지혈하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4

질경이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를 다스리며, 눈을 맑게 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5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