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미인보감 ()

조선미인보감
조선미인보감
국악
문헌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출판된 조선 예기 611명의 사진과 이력 등을 기록한 화보집.
정의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출판된 조선 예기 611명의 사진과 이력 등을 기록한 화보집.
개설

일제강점기 초기에 조선 주1들의 사진과 프로필을 자세히 적어 놓은 책으로, 일제강점기 문화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가 되며, 기생사 연구에 필수적인 문헌이다.

편찬/발간 경위

1918년에 경성일보사의 사장이었던 아오야나기 고타로(靑柳綱太郞)가 신구서림(新舊書林)을 운영하던 지송욱(池松旭)과 함께 작성한 책이다.

발간경위를 살펴보면, 「미인보감셔」에서 밝혔듯이, 조선 전도(全道) 미인의 사진과 기예(技藝)와 이력을 수집하고 조선 언문과 한문으로 서술한 책이며, 풍속교화를 달성하고 예기들의 용모와 기예를 평가하고자 발간하였다.

서지적 사항

이 책의 크기는 26㎝×18.5㎝이며, 46배판의 총312쪽 활자본으로, 주2이다.

내용

『조선미인보감(朝鮮美人寶鑑)』에는 경성을 비롯한 대구, 김천, 동래, 창원, 광주, 평양, 수원, 개성, 인천, 안성, 연기의 권번, 혹은 기생조합에 소속되어 있었던 예기들 611명에 대한 개인 프로필과 사진을 싣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86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예기들의 연령대는 9세부터 33세이나 대체로 16∼19세 사이가 많다.

서술방식을 보면, 한 면을 둘로 나누어 위의 오른편에는 예기의 주3과 현주소를 써 놓았고, 중앙에는 예기의 사진을 넣었으며, 왼편에는 기예를 적어 놓았다. 그리고 아래 오른편에는 한문으로 예기를 소개하고 있고, 왼편에는 한글로 예기를 소개하였는데, 권번에 따라 내용의 문체가 다르기도 하다. 기생들마다 한글로 소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예기의 신상에 관한 것부터 장기(長技)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서술체계는 『매일신보』 1914년 1월 28일부터 6월 11일까지 연재되었던 「예단일백인」과 일맥상통하며, 『매일신보』특집기사의 연장선상에서 『조선미인보감』이 기획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예기들의 장기를 살펴보면, 성악으로는 가곡 · 가사 · 시조와 잡가, 판소리, 민요가 있고, 기악곡으로는 풍류산조가 있으며, 정재(呈才)도 예기들의 기예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 외에 일본 악기인 주4을 연주하고 일본 노래(내지요, 혹은 내지가)인 〈이소후시(磯節)〉와 〈나니와부시(浪花節)〉, 〈돈돈후시〉와 같은 노래도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미인보감』이 만들어진 의도와는 별개로, 이 책은 일제강점기 초기에 당시 조선에서 활동하던 예기들의 사진과 이력, 그리고 그들의 예술 활동을 알 수 있는 문헌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제강점기에 예기들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악 및 문학, 사회학, 민속학, 무용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미인보감』해제」(이진원, 『조선미인보감』, 민속원, 2007)
「『조선미인보감』의 문화사적 가치」(최식, 『민족무용』 제10호,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조선미인보감』의 편저와 서술방식」(최식, 『민족무용』제8호,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5)
주석
주1

노래, 춤, 그림, 글씨, 시문 따위의 예능을 익혀 손님을 접대하는 기생. 우리말샘

주2

서양식으로 책의 겉모양을 꾸민 책. 우리말샘

주3

호적법에서, 혼인이나 입양 따위로 적을 옮기기 전의 본래의 호적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4

일본의 대표적인 현악기. 고양이 가죽이나 개가죽을 붙인 공명 상자에 기다란 손가락판을 달고 비단실을 꼰 세 줄의 현을 그 위에 친 것으로, 무릎 위에 비스듬히 얹고 발목(撥木)으로 줄을 튕겨 연주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배인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