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924년 예산 향천사에서 조성한 야외의식용 괘불도와 도량장엄용 불화.
이칭
이칭
예산 향천사 괘불탱 및 도량장엄번(禮山香泉寺掛佛幀 및 道場莊嚴幡)
작품/서화
창작 연도
1924년
작가
금호약효(錦湖若效), 동성정연(東星定淵), 청응목우(淸應牧雨), 영성몽화(永惺夢華), 연암 경인(蓮菴敬仁), 효암 재찬(孝菴在讚), 내순(來淳)
소장처
향천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禮山 香泉寺 掛佛圖 및 五如來·四菩薩·八金剛圖)
분류
등록문화유산/기타/동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등록문화유산(2014년 10월 29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는 1924년 예산 향천사에서 조성한 야외의식용 괘불도와 도량장엄용 불화이다. 충청남도 예산군 향천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인 1924년 계룡산문의 대표적인 불화승인 금호약효를 수화승으로 예산 향천사에서 조성한 불화들이다. 총 18점으로 의식에 거는 대형 불화와 오여래도, 사보살도, 팔금강도 등이 일괄로 제작되었다. 복장낭에 불화의 조성 내역을 기록한 괘불원문과 다라니가 나와 불화 조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이 파악된다.

정의
1924년 예산 향천사에서 조성한 야외의식용 괘불도와 도량장엄용 불화.
제작 배경

1924년 계룡산문의 대표적인 불화승인 금호약효(錦湖若效)를 수화승으로 예산 향천사에서 조성한 야외의식용 괘불도와 도량장엄용 불화이다. 총 18점으로 의식에 거는 대형 불화와 오여래도, 사보살도, 팔금강도 등이 일괄로 제작되었다.

복장낭에 불화의 조성 내역을 기록한 괘불원문(掛佛願文)과 다라니가 나와 불화 조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이 파악된다. 금호약효를 수화승으로 동성정연(東星定淵), 청응목우(淸應牧雨), 영성몽화(永惺夢華), 연암경인(蓮菴敬仁), 효암재찬(孝菴在讚), 내순(來淳) 등이 조성하였다.

내용

계룡산화파의 약효와 그 제자들이 조성한 불화로 괘불도는 아미타삼존을 중심으로 6위의 제자와 4위의 동자, 천인과 타방불을 배치하였다. 화기에는 "모두 함께 불도(佛道)를 이루고 극락국(極樂國)에 왕생해 함께 무량수불을 만나기를 바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음영을 사용한 입체감 표현이 특징이다.

오여래도는 영혼을 구제할 수 있는 힘을 지닌 다섯 존재로 다보여래, 묘색신여래, 광박신여래 등 각 여래의 존명이 적혀 있다. 녹색 두광에 붉은 법의를 착용하였다. 사보살과 팔금강은 의식의 시작 전에 의식 공간을 위호하기 위해 도량에 봉청되었다. 사보살과 팔금강의 명호를 불러 도량에 내려오기를 청하는 것은 『 금강경』에서 유래한다.

사보살도는 금강색보살, 금강권보살, 금강수보살, 금강어보살의 사보살도 동일한 초본을 사용해 유사한 도상으로 그렸다. 팔금강도는 청제재금강, 벽독금강, 황수구금강, 백정수금강, 적성화금강, 정제재금강, 자현신금강, 대신력금강 등으로 칼, 바위, 여의주 등의 지물을 든 금강은 갑옷투구관모를 쓰거나 근육이 불거진 산장 형태 등 다양한 모습이다. 청색과 적색, 녹색을 중심으로 안면에는 음영을 표현해 입체감을 나타냈다.

형태 및 특징

18점의 불화는 모두 면본 바탕에 제작되었다. 괘불도는 세로 567.3㎝, 가로 313.8㎝이며, 도량장엄용 불화들은 약간의 가감은 있으나 대체로 세로 107.5〜109.5㎝, 가로 58.0〜59㎝의 크기이다. 어느 공간이나 이동하여 걸 수 있는 용이한 방식인 번화 형식으로 제작되어 야외 도량에 사용되었다.

의의 및 평가

야외의식에 거는 대형 불화와 의식 도량에 사용하는 오여래도, 사보살도, 팔금강도가 결실된 본 없이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는 중요한 사례이다. 20세기 초 마곡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계룡산화파의 양식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10월 29일 국가등록문화재(현, 국가등록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희,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돌베개, 2009)

논문

정명희, 「조선시대 불교의식의 삼단의례와 불화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최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김정희, 「금호당 약효와 남방화소 계룡산파」(『강좌미술사』 2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