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현기석 ()

불교
문헌
고려 전기, 승려 균여가 당나라의 승려 법장의 『화엄경탐현기』를 해석한 불교서. 불교 주석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0세기경
저자
균여
권책수
28권
내용 요약

『탐현기석』은 고려 전기의 화엄 승려 균여(均如, 923~974)가 중국 화엄종의 대성자(大成者)로 불리는 법장(法藏, 643~712)이 60권본 『화엄경』에 대해 주석한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를 풀이한 것이다. 현존하지는 않는다.

정의
고려 전기, 승려 균여가 당나라의 승려 법장의 『화엄경탐현기』를 해석한 불교서. 불교 주석서.
저자 및 편자

고려 전기의 화엄 승려 균여(均如, 923~974)가 중국 화엄종의 대성자(大成者)로 불리는 법장(法藏, 주3이 60권본 『화엄경』에 대해 주석한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를 풀이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서지 사항

균여에 대한 유일한 전기 자료인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중 「해석제장분(解釋諸章分)」에 균여의 저술 중 하나로 소개되어 있다. 모두 28권으로 알려져 있으나 책이 전하지 않아 그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다.

내용

법장의 『화엄경탐현기』는 60권본 『화엄경』에 대하여 주석한 20권본 서적으로서 60권본 『화엄경』에 대한 동아시아의 주석서 가운데 그의 스승인 지엄(智儼, 602~668)의 『대방광불화엄경수현분제통지방궤(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와 함께 현재까지도 가장 중요한 주석서로 이용되는 문헌이다.

화엄종 제4조인 징관(澄觀, 주1이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방대한 주석서를 저술하기 전까지 화엄사상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탐현기석(探玄記釋)』에서 균여는 『화엄경탐현기』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화엄경탐현기』가 화엄종 조사들의 일반적인 저술 경향을 따라 10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책 역시 이러한 구성 양식을 따랐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화엄경탐현기』가 60권본 『화엄경』의 경문에 근거하여 부처의 설법이 7개의 장소에서 8회의 모임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균여 역시 이 책에서 이러한 7처 8회설을 수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신라 중기에서 후기까지의 화엄사상이 의상(義湘, 625∼702)『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한국 불교 사상의 독창성을 보여 주었다면, 고려 초에는 화엄종단이 정비되면서 중국의 화엄종 조사들의 저술에 대하여 주2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 책도 그러한 경향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智儼,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法藏, 『華嚴經探玄記』
赫連挺,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단행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출판부, 1976)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한 권으로 읽는 한국불교전서 100』(동국대학교 출판부, 2021)

논문

이병주, 「균여전역주」(『동악어문학』 14, 동악어문학회, 1981)
주석
주1

중국 당나라의 승려(738~839). 속성은 하후(夏候). 존칭은 청량 대사(淸涼大師)ㆍ화엄 보살. 화엄종의 제4대조로, 법장(法藏)의 화엄 교학을 부흥하였다. 저서에 ≪화엄경소≫ 60권,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90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선인(先人)이 말한 바를 근본으로 하여 서술하고 밝힘. 우리말샘

주3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43~712). 속성은 강(康). 호는 현수(賢首). 화엄종의 제3조로, 지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웠다. 670년에 칙령에 의하여 출가한 뒤 교학의 대성에 힘썼으며 현장, 일조, 실우난타 등의 역경(譯經)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저서에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보람(충북대학교 교수, 화엄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