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2는 보물 제891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 42권에 해당한다.
참고로 주본(周本) 『화엄경』이라고도 하는 80권본 『화엄경』은 당의 측천무후(則天武后)가 국호를 주(周)로 정했을 때 한역한 것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이 주본 『화엄경』은 모두 80권으로 이루어져 있어 80권본 『화엄경』 또는 『팔십화엄경』이라고도 한다. 이 『화엄경』은 418~420년에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359~429)가 번역한 진본(晉本) 『화엄경(華嚴經)』에 이어 새로 번역된 것이다. 이에 대한 주석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소』이다.
의천은 송나라 유학 시절 화엄학의 대가인 정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의천은 혜인원에 머무는 동안 정원이 엮은 『대방광불화엄경소』 1질 120권을 정원으로부터 직접 기증받았다. 이에 의천은 귀국 전 정원으로부터 받은 『대방광불화엄경소』 전질(全帙)의 판각을 항저우[杭州]의 각수 엄명(嚴明) 등에게 주문하였다. 1087년(선종 4) 3월 송나라 선상(船商) 서전(徐戩) 등을 통해 모두 2,900여 판에 이르는 목판이 고려에 전달되었다.
1424년(세종 6)에 대장경판을 달라는 일본에 끈질긴 요청에 이 목판을 대신 주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목판들은 일본 교토 쇼코쿠사[相國寺]에 비치되었으나, 후에 화재로 전부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를 통한 동양 3국의 문화 교류의 실상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 제42는 14세기에 개성(開城)에서 인출(印出)한 『대방광불화엄경소』 120권본 전체 목판(木板) 중에서 권42만을 1권 1첩(帖)의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것이다. 현재 재단법인 현담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2는 목판본이며, 절첩본(折帖本)이다. 권42의 판식(版式)은 테두리마다 한 줄의 검은 선을 돌린 상하단변(上下單邊)이며, 본문은 검은 선이 있는 오사란(烏絲欄)에 20행 15자, 소자쌍행(小字雙行)으로 이루어져 있다. 책의 크기는 30㎝✕10.7㎝이며, 광고(匡高)는 23.5㎝이다.
표지는 짙은 감색(紺色)으로 염색한 종이를 두껍게 겹쳐 만들었다. 표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테두리를 긋고, 그 가운데에 연꽃[蓮花紋] 세 송이를 세로로 그렸다. 연꽃 주변으로는 은니(銀泥)로 보상화문을 세밀하게 그려 넣었다. 당초문과 꽃술 등의 일부는 금니(金泥)로 그렸다. 연꽃잎의 끝을 모두 뾰족하게 그린 점, 연판과 당초 넝쿨 사이에 여백(餘白)이 있는 점 등 도식화(圖式化)되지 않은 표지의 그림 양식은 이 표지가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임을 알려준다.
표지의 중앙에는 세로로 제첨(題簽)을 그리고, 그 안에 은니로 서명(書名)을 썼다. 서명에는 ‘대방광불화엄경권제사십이(大方廣佛華嚴經卷第四十二)’라 적혀 있어 ‘소(疏)’라는 글자가 없는데, 본문의 권두제(卷頭題)에 ‘대방광불화엄경소권제사십이(大方廣佛華嚴經疏卷第四十二)’라고 기입되어 있어 서명의 글자가 빠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판식은 일반적인 권자본(卷子本)이나 절첩본(折帖本)과 같은 형태이다. 접은 면의 크기는 23.3㎝✕10.7㎝이며, 판면(板面)에는 계선(界線)이 선명하다. 한 면에 4행(行)씩 구분되게 절첩(折疊)하여 인쇄된 목판 1장(張)은 5면씩 접히는 형태이다. 목판의 각 장(張)에는 판수제(板首題)를 새겨 목판의 관리나 제책(製冊) 작업이 편리하도록 만들었다. 글자체[字體]는 당시 송판(宋板)에서 유행한 구양순체(歐陽詢體)로 보인다.
책을 인쇄한 종이는 광택이 돌고 묵즙(墨汁)이 번지지 않는 우수한 고려지(高麗紙)로 그중에서도 도침(搗砧)한 저지(楮紙)만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문과 그 앞면 및 뒷면의 여백 등에 낙서나 독서의 흔적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불복장(佛腹藏)을 위한 용도로 책을 인출하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른다. 『화엄경』의 중심 사상은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不二]’라는 것이다. 이 경전은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의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에 갔을 때 정원(淨源)에게 요청하여 중국에서 판각(板刻)되었다. 1087년 경 고려에 수입된 『화엄경소』 120권 목판(木板)은 「주화엄경판(注華嚴經板)」으로 지칭된다. 1424년(세종 6) 일본이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재조대장경의 목판을 달라고 조선에 요청하였을 때, 세종이 팔만대장경판 대신 이 주화엄경판을 일본 사신에게 주어 돌려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일본은 해인사에 있는 고려재조대장경판을 일본으로 가져가고 싶어하였으나 유교 국가임에도 불교 유산을 소중히 여겼던 조선은 고려대장경판을 일본으로 유출하지 않았다.
고려시대 중국 송나라에서 판각된 「주화엄경판」은 고려시대에 잘 보존되어 전래되었으며, 조선 세종 때 선린 외교(善隣外交)의 차원에서 일본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이 목판은 한(韓) · 중(中) · 일(日) 삼국이 문화적으로 교류하였던 사례를 보여주며, 당시 삼국의 문화적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