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호 우명문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명문 탁본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명문 탁본
고대사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왕 관련 청동제 그릇에 새겨진 명문.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慶州 壺?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청동용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5년 09월 02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왕 관련 청동제 그릇에 새겨진 명문.
내용

호우총적석목곽분으로 파괴된 상태의 고분이었는데, 노서동 213번지에 위치하고 있어 노서동 140호분이라 불리다가 1964년에 은령총과 함께 발굴되었다. 무덤에서 출토된 청동 호우로 인해 호우총으로 명명되었다. 무덤은 인근에 사는 주민이 농작물을 심기 위해 땅을 파다가 순금으로 된 신라의 귀고리를 발견한 것을 계기로 1946년 5월에 발굴되었다. 발굴된 청동 호우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2015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호우총에서 출토된 청동 호우는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그릇이다.

호우 명문은 그릇의 밑면에 4행 4자씩 총 16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고 새겨져 있다. 글씨는 주조 당시부터 외형틀에 음각으로 새겨 넣음으로써 두터운 양각명으로 돌출된 것이다. 호우는 고구려 장수왕 3년 을묘년인 415년에 만든 것으로 광개토왕비의 서체와 유사하다. ‘十’의 의미는 열 개를 주조하였음을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불교사상에 의한 원만, 무진함을 나타낸다고 보는 설, 什器의 什의 약체로 보는 설, 일종의 종지부(終止符) 혹은 길상(吉相)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또한 명문 상단에 보이는 ‘#’의 표시는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그 상징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 명문을 통해 고구려의 그릇이 교류를 통해 신라의 고분에까지 묻힌 사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당시 신라와 고구려의 대외 교류나 정치적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다. 광개토왕시호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임은 광개토왕비에서 확인되므로 호우에서의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 역시 바로 광개토왕이다. 광개토왕을 장사지낸 일년 뒤에 왕릉에서 크게 제사를 지내고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호우를 제조한 것을 신라의 사절이 고구려의 제사의식에 참여하여 호우를 받아서 가져왔던 것으로 여기기도 한다. 혹은 호우가 만들어질 때 마침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었던 신라 나물왕의 왕자 복호와 같은 인물이 가지고 들어 왔을 것으로 보고, 호우총의 피장자를 복호나 그 후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호우총은 다른 유물, 특히 토기의 형식으로 보아 415년보다는 한참 뒤인 6세기 초에 축조된 고분이라는 것이 최근 학계의 공통된 견해이므로, 청동 호우는 100년이 지난 뒤에 신라 왕족의 무덤에 부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과 함께 청동호우는 수량이 많지 않은 고구려 금속공예품이라는 점과 명문을 지닌 삼국시대 고분의 편년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는 더욱 높다.

참고문헌

『신라고분연구』(최병현, 일지사, 1988)
『호우총과 은령총』(김재원,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서 제1책, 1948)
「금속기명」(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1, 1992)
「신라호우총의 피장자는 누구인가」(김원룡, 『역사독본』1977-9, 1977)
「近時發見の新羅銘文」(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195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