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배속되어 간부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5년 11월 1일
사망 연도
2000년 3월 27일
본관
반남(潘南)
출생지
중국 용정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서무과장|한국광복군 제3지대 상위(上尉)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77)
내용 요약

박영준은 일제강점기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에 참여하였고,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배속되어 간부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942년 4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서무과에 배속되었으며, 1943년 1월 20일 한국독립당 한국청년회의 예술간사, 임시정부 재무부 이재과, 내무부 경무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제3지대 제1구대장 겸 제3지대 훈련총대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駐華代表團) 등에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배속되어 간부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박영준(朴英俊)은 1915년 11월 1일 중국 용정(龍井)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임시정부 법무부장 등을 지낸 박찬익(朴贊翊, 이명 박남파)과 심탄실의 4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한국에서 소학교를 거쳐 중국에서 중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주요 활동

박영준은 부친의 희망에 따라 1939년 2월 광시성〔廣西省〕 유주(柳州)에서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에 참여하여 항일 연극과 강연, 합창 및 전단을 배포하는 등 반일 사상 고취와 주1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는 유주 각계의 지지와 중국 항전 예술단체의 협조하에 삼일절 기념공연과 중국 부상병을 위한 위로금 모금공연 등을 전개하였다. 청년공작대의 항일 공연예술 활동은 중국 측에 한 · 중 연대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인식하게 하였고, 한국 고유의 정서와 특색을 담긴 공연을 선보여 중국인 관객들 앞에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드러내 보였다.

1939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인재 양성 계획에 따라 중국 중앙군관학교 특별훈련반 교통과에 입교하여 1941년 12월 중국 중앙군관학교 제17로 졸업하였다.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편제되었고, 1942년 4월 주2 직급으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서무과에 배속되었다.

1943년 1월 20일 한국독립당 청년들이 청년 상호 간의 친목과 수양을 목표로 창립한 한국청년회의 예술간사로 선임되었고, 1943년 3월 15일에는 한국독립당의 5개 구(區) 중 24명으로 구성된 제3구에 속하였는데 주회(周回)는 매주 금요일 19시였다. 한국독립당은 1940년 5월 9일 한국국민당 · 재건한국독립당 · 조선혁명당 등이 통합되어 창당되었다.

1943년 6월 29일 임시정부 재무부 이재과(理財科) 과장(科長)으로 선임되었고, 그해 8월에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서무과장으로 선임되었으며, 1943년 12월 12일 임시정부 강당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서 함께 활동하였던 신순호(申順浩)와 혼인하였다. 1944년 6월 1일 임시정부 재무부 이재과 과장으로 선임되었고, 그해 6월 12일 임시정부 내무부 경무과(警務科) 과원(科員)으로 선임되었다.

1945년 3월부터는 한국광복군 제3지대 제1구대장 겸 제3지대 훈련총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8월에는 개봉지구(開封地區) 특파단 단장으로 파견되어 한인 청년 300여 명을 광복군에 편입시키는 등 광복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1945년 11월 1일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동북 총판사처(總辦事處) 외무주임으로 한인들에 대한 조사, 구호, 재산처리, 귀환 등의 활동을 펼치고 1948년 4월에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43: 서한집 II』(국사편찬위원회, 2011)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44: 사진자료』(국사편찬위원회, 2011)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4: 한국독립당 I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8: 정부수반』(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9: 군무부』(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 헌법·공보』(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6: 임시의정원 V』(국사편찬위원회, 2005)
박영준, 『한강물 다시 흐르고』(한국독립유공자협회, 2005)
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군관학교』(문학과지성사, 1994)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독립운동증언 자료집』(박영사, 198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6: 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임시정부사』(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3)

논문

오은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결성과 항일공연예술활동」(『한국근현대사연구』 87, 2018)
성주현, 「남파 박찬익의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사학연구』 97(한국사학회, 2010)
김정인, 「임정 주화대표단의 조직과 활동」(『역사와 현실』 24(한국역사연구회, 1997)

신문

김형목, 「경기도 부부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한국광복군 박영준·신순호 부부」(『경기일보』, 2021. 9. 17.)
「독립운동 헌신 ‘박찬인, 박영준 부자’ 유물 기증」(『인천일보』, 2014. 7. 22.)
주석
주1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2

대위와 중위 사이의 군사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군관.    우리말샘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