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

국방
인물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며 교통부장관을 지낸 관료.
이칭
우촌(愚村), 운산(雲山), 산남(山南)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0년 11월 23일
사망 연도
2020년 7월 10일
본관
수원(水原)
출생지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
주요 저서
『군과 나』(1989), 『길고 긴 여름 날 1950년 6월 25일』(1999), 『실록 지리산』(1992)
주요 경력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교통부장관
대표 상훈
태극무공훈장(2회), 을지무공훈장(2회), 충무무공훈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선엽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며 교통부장관을 지낸 관료이다. 제1사단장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다부동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우며 32세에 대한민국 최초의 대장에 올랐다. 육군참모총장·합동참모의장 등을 역임하고, 중화민국·프랑스·캐나다 대사 등을 지냈으며, 한국종합화학·한국에타놀 사장도 역임하였다. 2020년 99세의 나이로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정의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며 교통부장관을 지낸 관료.
인적사항

1920년 11월 23일에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수원(水原), 호는 우촌(愚村) · 운산(雲山) · 산남(山南)이다.

주요 활동

1941년 12월 주1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간도특설대에서 일본군 장교로 근무하였다.

해방된 후 월남하여 1946년 2월에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한국전쟁 이전까지 1947년 1월 제5연대 연대장, 1948년 4월 국방 주2 총사령부 정보처장, 1949년 5월 육군정보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 제1사단장으로 한국전쟁 다부동전투에서 25일간에 걸친 북한군 3개 사단의 공세를 저지하는 등 낙동강 전선과 대구를 사수하는 데 성공하였다. 『내가 물러나면 나를 쏴라』에 의하면, 돌격 직전 병사들에게 “모두들 앉아 내 말을 들어라. 그동안 잘 싸워주어 고맙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더 후퇴할 장소가 없다. 더 밀리면 곧 망국이다. 우리가 더 갈 곳은 바다밖에 없다……대한 남아로서 다시 싸우자. 내가 선두에 서서 돌격하겠다. 내가 후퇴하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라고 독려하였다.

32세에 대한민국 최초의 대장에 올랐으며, 1952년 휴전 회담 때 한국 측 대표단으로 ‘휴전 문서 조인식’에 참석하였다. 주3 · 주4 등을 역임하면서 대한민국의 육군을 재건하였으며, 전역 후에는 중화민국 · 프랑스 · 캐나다 대사 등을 지낸 후, 한국종합화학 · 한국에타놀 사장을 역임한 기업인으로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이후 별다른 공직을 맡지 않고 여러 기념 활동에 참가하였다.

2020년 7월 10일에 99세의 나이로 별세하여 국립 대전 주7의 장군 제2묘역에 안장되었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2010년 6월 8일에 충남대학교에서 명예 군사학 박사를 받았다. 영어, 일본어, 주5에 능통하였으며, 저서로는 『군과 나』(1989) 외 다수가 있다.

상훈과 추모

생애 동안 수여받은 훈장으로는 우리나라의 태극 무공 훈장(2회), 을지 무공 훈장(2회), 충무 무공 훈장 외 5개 훈장이 있으며, 미국의 은성 훈장 외 8개 훈장, 다른 외국 훈장은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주6 외 10개국의 훈장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다부동 전적 기념관에 그의 동상이 있으며, 제1사단에 동상, JSA 경비대대 생활관 신관과 미 제2보병사단 훈련 평가원실이 백선엽관으로 명명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해방과 건국』 (대한민국 국방부, 1967)
백선엽, 『군과 나』 (대륙연구소 출판부, 1989)
백선엽, 『길고 긴 여름 날 1950년 6월 25일』 (지구촌, 1999)
백선엽,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 1-3』 (중앙일보, 2010)
백선엽, 『실록 지리산』 (고려원, 1992)
브루스 커밍스, 존 할리데이,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태암, 1989)
정일권, 『정일권회고록 1-2』 (고려서적, 1996)
존. R. 메릴, 『침략인가, 해방전쟁인가』 (과학과사상, 1988)
佐佐木春隆, 『한국전 비사』 상·중·하 (병학사, 1983)

기타 자료

송유창, '대한민국 최초 4성 장군 故 백선엽 예비역 대장을 보내며...', 월간 군사저널 (2020.8.)
'대장 아버지, 58년 만에야 카네이션 달아드립니다', 중앙일보 (2010. 5. 10.)
'반세기만에 ‘대장 아버지’ 백선엽 장군 찾은 그들', 조선일보 (2009. 5. 2.)
'백선엽 장군 명예박사학위 받는다', 대전일보 (2010. 6. 8.)
'전쟁영웅 백선엽 장군 명예군사학 박사학위 받아', 충청일보 (2010. 6. 7)
『조선일보』 (2023. 7. 5)
주석
주1

1932년에 일본이 중국 동북부 및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동북부에 세웠던 괴뢰 국가.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宣統帝) 푸이(溥儀)를 집정(執政)으로 맞아들이고 신징(新京)을 수도로 하여 건국하였다. 일본의 군사 기지로서 관동군이 무단 통치 하였으나, 일본이 제이 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자 소멸하였다. 우리말샘

주2

1946년 1월 창설한 우리나라의 군대. 오늘날의 국군의 모체가 되었다. 우리말샘

주3

육군의 최고 선임 장교. 대장 계급이며, 국방부 장관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법률에 따라서 소속 군을 지휘ㆍ통솔한다. 우리말샘

주4

합동 참모 회의의 장. 국방부 장관을 보좌하여 합동 참모 본부의 사무를 통할한다. 우리말샘

주5

북경어음을 표준음으로 하고, 중국 북방어를 기초 어휘로 하며, 전형적인 현대백화로 쓰인 저작을 문법적인 기준으로 하는 현대 한(漢)민족의 공통어. 중국의 표준어를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6

1802년에 나폴레옹이 제정한 프랑스 최고 훈장. 루이 십사세가 만든 생루이 훈장을 수정하여 만든 것이다. 지금도 프랑스에서 국가적인 공적이 있는 인물에게 대통령이 직접 수여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7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현충원. 국립 서울 현충원의 안장 능력이 한계에 달하여, 지방에 애국지사와 순국선열 및 호국 영령을 모시기 위하여 ‘대전 국립묘지’로 1985년 개원하였다. 1991년에 ‘국립묘지 대전 관리소’로 승격되었다가, 1996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송유창(21C 안보전략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