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몽기차는 지표면 위에서 천체를 관측할 때 지구의 대기에 의해 태양 빛이나 별빛이 굴절되어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청몽기차의 개념은 서양의 천문학자인 티코 브라헤(Tycho Brache, 1546~1601)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과 조선으로 전해졌다. 특히 1721년(경종 1)에 간행된 『역상고성(曆象考成)』에 비로소 청몽기차의 원리와 구체적인 계산의 방법이 수록되었는데, 조선의 학자들도 『역상고성』의 내용을 토대로 청몽기차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산에 반영할 수가 있었다.
청몽기차(淸蒙氣差)란 천문 관측 시 대기에 의한 굴절로 인해 천체의 실제 고도보다 겉보기 관측 고도가 높게 나타나거나 낮게 나타나서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태양이나 달이 뜨고 질 때에 실제로는 지평선이나 수평선 아래에 있지만 그보다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관측상의 오차는 대기 굴절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청몽기차는 서양의 천문학자인 티코 브라헤(Tycho Brache, 1546~1601)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과 조선으로 전해졌다. 청몽기차는 이때 대기 굴절의 개념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청몽기차의 개념은 이미 명나라 말기부터 전해져서 『숭정역서(崇禎曆書)』에도 실렸지만, 그 원리와 구체적인 계산 방법은 1721년(경종 1)에 편찬된 『역상고성(曆象考成)』에 수록된 내용을 통해서 비로소 자세하게 알려지게 되었다. 『역상고성』을 통해 청몽기차의 개념이 조선에 전해져, 서명응(徐命膺)과 같은 조선의 학자들도 그 내용을 이해하여 『선구제(先句齊)』와 같은 저술에 반영하였다. 이 개념은 1770년(영조 46)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 상위고(東國文獻備考象緯考)』에도 자세하게 수록되었다.
한편 『역상고성』에서는 청몽기차의 보정치로 티코 브라헤가 설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때 청몽기차의 값은 실제값과 상당한 차이가 있어 태양과 달의 운동을 계산하는 데 많은 오차를 생겼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1742년(영조 18) 간행된 『역상고성후편(曆象考成後篇)』에서는 곧바로 개정되었다. 『역상고성후편』에서는 당시 서구에서 카시니(Giovani Cassini, 1625~1712)가 정교한 관측을 토대로 정한 청몽기차 값을 채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