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승지차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역법에서 황도와 적도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차잇값.
이칭
이칭
동승차(同升差)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승지차는 역법에서 황도와 적도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차잇값이다. 천구(天球)상에서 황도는 적도에 대해서 23.5°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천체의 황도 좌표계상의 도수는 적도 좌표계의 도수와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를 동승지차라고 한다. 동승지차의 개념은 명말 청초 시기에 서양의 천문학 지식이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 전해질 때 함께 알려졌다. 특히 동승지차를 구하는 방법은 1721년(경종 1)에 간행된 『역상고성(曆象考成)』에서 황적거위(黃赤距緯)의 항목으로 자세한 계산의 방법이 수록되었다.

목차
정의
역법에서 황도와 적도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차잇값.
내용

동승지차(同升之差)는 역법(曆法)에서 황도와 적도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차잇값이다. 즉 황도와 적도는 천구(天球)상에서 23.5°로 기울어져 교차하기 때문에, 천체의 황도 좌표계상의 도수는 적도 좌표계의 도수와 달라지는데 이를 동승지차라고 한다. 만약 태양이 황도 좌표계상에서 1도를 움직인다고 하면 적도 좌표계에서는 이 도수가 춘분(春分)과 추분(秋分)에는 1도보다 커지고 하지(冬至)와 동지(夏至)에는 1도보다 작아진다.

동승지차의 개념은 명말(明末) 청초(淸初) 시기에 서양의 천문학 지식이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 전해질 때 함께 알려지면서 『숭정역서(崇禎曆書)』『서양신법역서(西洋新法曆書)』에서 소개되었다. 하지만 동승지차를 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1721년(경종 1)에 간행된 『역상고성(曆象考成)』에서 황적거위(黃赤距緯)의 항목으로 자세하게 수록되었다.

『서양신법역서』와 『역상고성』을 통해서 조선으로 전해진 동승지차의 개념은 서명응(徐命膺)과 같은 조선의 학자들이 그 내용을 이해하고 『선구제(先句齊)』와 같은 저술에 반영하였다. 특히 관상감에 소속된 천문학자들은 『역상고성』의 내용을 토대로 황적거위를 구하는 문제를 이해하고 역법 계산에 반영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동승지차의 개념은 1770년(영조 46)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상위고(象緯考)」에도 자세하게 수록되었다.

하지만 『역상고성』에 수록된 동승지차, 즉 황적거위를 구하는 내용은 기본적으로 구면 삼각법(球面三角法)을 토대로 서술되어 있었기에 전문적인 천문학자가 아니고서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서명응은 천구상에서 황도 좌표계와 적도 좌표계가 서로 기울어져 만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동승지차’가 선천방원도(先天方圓圖)에 표상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상수학적 논의를 전개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역상고성(曆象考成)』

단행본

강민정, 김슬기, 이면우, 최승언, 『역상고성에 기술된 태양의 운동』 (교육과학사, 2023)

논문

박권수, 「서명응(1716-1787)의 역학적 천문관」 (『한국과학사학회지』 20-1, 1998)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