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정추보관 ()

과학기술
제도
조선시대, 천문관서인 관상감(觀象監)에서 천체들의 운행과 위치를 미리 예측해 놓은 천문력(天文曆, ephemeris)인 칠정력(七政曆)을 편찬하기 위해 매년 설치하던 직임(職任).
제도/관직
설치 시기
17세기 이전
폐지 시기
1909년(융희 3)
소속
관상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정추보관은 조선시대 천문관서인 관상감(觀象監)에서 천체들의 운행과 위치를 미리 예측해 놓은 천문력(天文曆, ephemeris)인 칠정력(七政曆)을 편찬하기 위해 매년 설치하던 직임(職任)이다. 칠정추보관은 삼력수술관과 마찬가지로 오직 삼력관들 중에서만 선발이 될 수 있었다. 관상감에서 매년 10월에 이듬해에 사용할 칠정력의 편찬을 담당할 관원들을 미리 선발하였다. 칠정추보관들의 명단은 그해 칠정력의 맨 마지막 페이지 하단에 추보관(推步官)이란 호칭으로 나열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천문관서인 관상감(觀象監)에서 천체들의 운행과 위치를 미리 예측해 놓은 천문력(天文曆, ephemeris)인 칠정력(七政曆)을 편찬하기 위해 매년 설치하던 직임(職任).
설치 목적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매년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는 역서인 일과(日課), 왕실에서만 사용하는 역서인 내용삼력(內用三曆), 그리고 천체들의 운행을 미리 예측해 놓은 천문력(天文曆, ephemeris)인 칠정력(七政曆)을 편찬, 간행하여 배포하였다. 1654년(효종 5)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역법인 시헌력(時憲曆)의 계산법을 도입한 이후부터 역서 계산의 업무가 어려워지면서 이들 역서들의 편찬 업무를 분담하여 수행하도록 삼력수술관(三曆修述官)과 칠정추보관(七政推步官)의 직임을 설치하였다. 이후 삼력수술관은 일과와 내용삼력의 편찬을, 칠정추보관은 칠정력의 편찬을 전담하였다.

임무와 직능

칠정추보관은 관상감이 매년 간행하는 역서들 중에서 천문력에 해당하는 칠정력을 편찬하는 관원으로, 오직 삼력관들 중에서만 선발되었다. 칠정추보관의 정원은 삼력수술관과 마찬가지로 1743년(영조 19) 무렵에는 12인으로 늘어나 있었다. 이들 12인은 매년 10월 초에 선발되어 3명씩 4개 조로 나누어서 이듬해의 칠정력에 기재될 천체들의 위치를 계산하였다.

즉 칠정추보관 12명 중에서 제1·2·3번째 관원은 일전(日躔)의 봄 · 여름, 금성의 봄 · 여름, 목성의 가을 · 겨울, 화성의 겨울을 담당하였으며, 제4·5·6번째 관원은 일전의 가을 · 겨울, 금성의 가을 · 겨울, 목성의 봄 · 여름, 화성의 여름을 담당하였다. 다음으로 제7·8·9번째 관원은 월리(月離)의 봄 · 여름, 토성의 봄 · 여름, 수성의 가을 · 겨울, 화성의 가을을 담당하였는데, 제8번째 관원은 사여(四餘)인 자기(紫氣), 월패(月孛), 나후(羅睺), 계도(計都)의 계산도 겸하여 맡았고, 제9번째 관원은 가을 · 겨울의 목록을 겸하여 맡았다. 다음으로 제10·11·12번 관원은 월리의 가을 · 겨울, 토성의 가을 · 겨울, 수성의 봄 · 여름, 화성의 봄을 담당하는데, 제 10번째 관원은 가을 · 겨울의 목록을 겸하여 맡고, 제11번재 관원은 봄 · 여름의 목록과 가을 · 겨울의 초고를 내는 일을 겸하여 맡고, 제12번째 관원은 봄 · 여름의 목록과 봄 · 여름의 초고를 내는 일을 겸하여 맡는다. 천체들에 대한 계산 원고는 봄 · 여름의 경우 2월 20일까지, 가을 · 겨울의 경우 4월 20일까지 제출해야 했다. 기한 내에 계산 원고를 제출하지 못하는 관원들에 대해서는 6개월 감봉에 해당하는 징계를 내렸다.

변천사항

칠정추보관의 정원이 변화한 과정은 삼력수술관의 경우와 달리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삼력수술관의 정원은 1654년에 시헌력이 시행되면서 3명에서 6명으로 늘어났는데, 이때 칠정추보관의 정원도 과거보다 늘어나서 6명 이상이 되었을 것이다. 1706년(숙종 32) 이전에 칠정추보관의 정원은 다시 8명으로 늘어났으며, 이후 삼력수술관의 정원이 늘어난 1743년 이전에 칠정추보관의 정원은 12인으로 정해졌다. 칠정추보관 12인의 정원은 조선 말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력청완문(三曆廳完文)』
『삼력청헌(三曆廳憲)』
『서운관지(書雲觀志)』

단행본

이면우 외 역주, 『서운관지』 (소명출판, 2006, (성주덕, 『書雲觀志』)

논문

박권수, 「조선 후기의 역서(曆書) 간행에 참여한 관상감 중인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37-1, 한국과학사학회, 2015)
박권수, 「조선 후기 관상감 산원직(散員職)의 설치와 확대: 삼력관(三曆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41-3, 한국과학사학회, 2019)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