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력장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문헌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
이칭
이칭
단력장(單曆張)
문헌/문서
용도
역일 정보 일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력장은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그해 역서의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한 장(2페이지)에 요약, 수록하여 한 해의 역일(曆日) 정보를 한눈에 일람할 수 있게 한 장을 말한다. 월력장에는 그해의 역일 정보와 24절기의 날짜, 시각에 대한 정보만이 수록되었다. 단력장(單曆張)이라고도 지칭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
형태와 내용

조선시대의 역서(曆書)는 일반적으로 맨 앞에서부터 월력장(月曆張)과 연신방위도(年神方位圖) 장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 매월의 역일(曆日)과 역주(曆註) 정보를 담은 장들이 등장한다.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배포되었던 상용력(常用曆)인 일과력(日課曆)은 달별로 역일과 역주 정보를 담은 장이 한 장(2페이지)으로 이루졌다. 따라서 일과력은 평년(平年)에는 12장, 윤년(閏年)에는 13장으로 구성되었다. 월력장은 12개월 혹은 13개월에 해당하는 역일과 역주의 정보를 간략화해서 한 장(2페이지)으로 요약해, 열람자가 한 해의 역일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월력장에는 길흉(吉凶)의 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역주 정보는 생략되고, 역일 정보에 해당하는 그해의 전체 날수와 달의 대소(大小), 윤달의 위치, 그리고 24절기의 정확한 날짜 및 시각 정보만이 수록되었다. 예를 들어, 평년의 경우 월력장에는 한 해 354일의 날수와 12달의 역일 정보, 24절기 정보가 기재되었다. 윤년이라면 한 해 383일 또는 384일의 날수와 13달의 역일 정보, 24절기 정보가 기재되었다. 참고로 윤달에는 24절기가 기재되지 않았다. 월력장은 단력장(單曆張)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한 장으로 이루어진 달력이라는 의미이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관상감(觀象監)에서 간행한 역서들에서 일반적으로 월력장이 첫 번째로 인쇄된 면이었기 때문에, 월력장에는 그해 역서의 표제가 큰 글자로 기재되었다. 예를 들어, 1870년(고종 7) 일과력의 경우, 월력장의 첫 줄에 ‘대청동치구년세차경오시헌서(大淸同治九年歲次庚午時憲書)’라는 표제어가 적혔다. 따라서 월력장이 모든 역서의 표제장 역할을 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의 월력장에는 관상감의 인장이 찍혔는데, 이는 해당 역서가 관상감에서 공식적으로 간행된 것임을 인증하는 의미를 지녔다.

참고문헌

논문

박권수, 「조선시대 관상감의 역서 편찬과 인쇄」 (『조선시대사학보』 94, 조선시대사학회, 2020)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