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公主)
공주는 조선시대에 왕의 정실부인인 왕비가 낳은 딸의 명칭이다. 조선 초기에 궁주(宮主), 옹주(翁主), 왕녀(王女) 등과 혼용되다가 1440년(세종 22) 이후 왕비가 낳은 딸만을 공주로 칭하도록 규정되었다. 이 규정은 『경국대전』 「이전」 외명부(外命婦)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즉, 『국조오례의』 「왕녀하가의(王女下嫁儀)」에 의거해 납채[^2], 납폐[^11], 명복내출(命服內出), 친영(親迎)[^12], 동뢰[^3], 공주현구고(公主見舅姑), 공주현사당(公主見祠堂), 서조현(壻朝見) 등으로 진행되었다. 공주의 남편은 처음 종1품의 위(尉)인 광덕대부(廣德大夫) · 숭덕대부(崇德大夫)로 의빈(儀賓: 駙馬都尉)에 봉작^13]되었으며, 그에 준한 [녹봉을 받았다. 의빈이 죽은 뒤에도 공주는 계속 쌀 · 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