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혜왕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제7대 왕 세조의 장남인 덕종의 부인이자 제9대 왕 성종의 생모.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437년(세종 19) 10월 7일
사망 연도
1504년(연산군 10) 5월 11일
본관
청주(淸州)
주요 저서
내훈(內訓)
내용 요약

소혜왕후는 조선 전기 제7대 왕 세조의 장남인 덕종의 부인이자 제9대 왕 성종의 생모이다. 서원부원군 한확의 딸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맏아들 도원군과 혼인하였다. 수양대군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르자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어 수빈(粹嬪)이 되었다. 여성 교훈서인 『내훈』을 저술하였으며,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정의
조선 전기 제7대 왕 세조의 장남인 덕종의 부인이자 제9대 왕 성종의 생모.
가계 및 인적 사항

1437년(세종 19)에 서원부원군 한확(韓確)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두 고모가 명나라 황제의 후궁인 주1주2이 되고, 아버지가 명나라와 조선에서 매우 높은 지위와 부를 누리던 전성기에 성장하였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맏아들 도원군(桃源君) 장(暲)과 혼인하여 월산대군(月山大君)과, 성종, 명숙공주(明淑公主) 등 2남 1녀를 두었다.

주요 활동

소혜왕후가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르자 남편 도원군은 의경세자로 책봉되었고, 자신은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어 수빈(粹嬪)이 되었다. 세조는 항상 ‘효부(孝婦)’라 칭찬하였으며, 효부라는 도장까지 하사하였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남편이 갑자기 사망하자 세자 자리는 시동생 해양대군(海陽大君, 예종)에게 넘어갔다.

그런데 예종이 즉위한 지 14개월 만에 요절하고, 아들 성종이 즉위하였다. 왕실의 가장 어른인 세조비 정희왕후가 예종이 죽던 날 한명회의 사위이자 소혜왕후의 둘째 아들인 13살 잘산군(乽山君) 즉, 성종을 차기 왕으로 지명하였기 때문이다.

성종은 즉위 후 친아버지 의경세자를 회간왕, 의경왕, 덕종으로 추존하여 종묘에 모셨다. 따라서 소혜왕후도 회간왕비, 의경왕비, 덕종비, 인수왕대비, 인수대비 등으로 불렸다. 소혜왕후는 정희왕후, 성종과 함께 며느리 윤씨를 폐비하고 주3하는 데 깊이 관여하였다. 이 때문에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이 심화되었고, 갑자사화가 진행되던 1504년(연산군 10) 4월에 창경궁의 경춘전에서 사망하였다. 능은 경릉(敬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면 서오릉(西五陵)에 있다.

학문과 저술

소혜왕후는 당시 부녀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서적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중국의 『열녀』 · 『소학』 · 『여교(女敎)』 · 『명감(明鑑)』의 네 책에서 부녀자들의 훈육에 요긴한 대목을 뽑아서 3권 4책으로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여성상을 정립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내명부 및 양반 여성들을 훈육하는 기본 윤리서 역할을 하였다.

또 불교에도 관심이 깊어 혼인 직후 세조를 도와 불경 간행에 참여하였다. 사경(寫經) 사업, 사찰 주4, 불상 조성, 불서(佛書) 간행, 목활자 제작 등을 지원하고, 도첩제 폐지를 반대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내훈(內訓)』
『선원록(璿源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단행본

한희숙, 『역사학자가 쓴 인수대비』(솔과학, 2017)

논문

이경하, 「소혜왕후 『내훈(內訓)』의 『소학(小學)』 수용 양상과 의미」(『대동문화연구』 7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0)
이경하, 「15세기 최고의 여성지식인, 인수대비」(『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희숙, 「조선초기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생애와 『내훈(內訓)』」(『한국사상과 문화』 2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주석
주1

한영정의 딸. 한확의 누이. 인수대비의 고모. 영락제의 후궁으로 생전 여비(麗妃)에 봉해졌다. 사후에는 '강혜장숙'자를 시호에 추가로 받아 공식 호칭은 <강혜장숙여비 한씨>가 된다.    우리말샘

주2

공신부인 한씨(恭愼夫人 韓氏, 1410년 음력 4월 9일 ~ 1483년 음력 5월 18일)는 조선 출신의 명나라 후궁이다. 조선에서 명나라에 바친 공녀로,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다. 한확의 누이이며 소혜왕후의 고모이다. 이름은 계란(桂蘭)이다.

주3

죽일 죄인을 대우하여 임금이 독약을 내려 스스로 죽게 하던 일.    바로가기

주4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한희숙(숙명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