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용 ()

남유용
남유용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홍문관교리, 홍문관제학,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재(德哉)
뇌연(雷淵), 소화(小華)
시호
문청(文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8년(숙종 24)
사망 연도
1773년(영조 49)
본관
의령(宜寧)
출생지
서울
주요 관직
강릉참봉(康陵參奉)|홍문관교리|홍문관제학|형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에, 홍문관교리, 홍문관제학,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할아버지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강릉참봉(康陵參奉)·종묘서부봉사·세자익위사시직·군자감주부·형조좌랑·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낸 뒤 1740년(영조 16)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그해에 정언이 되었다.

이때에 간관은 의리를 궁극적으로 밝히는 것이 임무이므로 필요하다면 시비를 끝없이 따져야 한다는 간관지책(諫官之責)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탕평책을 제일의 국시로 삼고 당인(黨人)들의 자작의리(自作義理)를 배격했던 영조에게는 대단히 거슬리는 상소였기 때문에, 정의(旌義)에 찬배시키려 했다. 그러나 다른 대신들의 만류로 해남으로 찬배되었다.

그 뒤 1724년 풀려나 직첩을 되돌려받았다. 1743년부터 홍문관에서 부교리·부수찬·응교·교리 등과 세자시강원의 문학·필선·보덕 등의 직과 사간·장령, 서학·동학·중학 등의 교수를 거쳤다.

1747년 응교로 있을 때에는 군덕10조(君德十條)를 진언했는데 군주의 성실을 특히 강조했다. 1748년 통정(通政)으로 승계한 뒤부터 승지·판결사·형조참의를 역임했다.

1752년 가선(嘉善)으로 승계한 뒤 승문원제조·대사성·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 등을 거쳐, 1754년에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어 뒤에 정조가 된 세손을 세살 때 무릎에 앉혀놓고 글을 가르쳤다. 이런 인연으로 정조는 그 은덕을 오래도록 잊지 못했다.

1755년 『천의리편(闡義理編)』의 찬집당상을 겸직하고, 비변사제조·예문관제학·병조참판·세자좌부빈객·병조참판·대사헌·대사성을 거치고, 1757년에는 원손사부(元孫師傅)가 되어 호랑이 가죽을 하사받았다.

이어 호조참판을 거친 뒤 1758년 전 대제학 윤봉조(尹鳳朝)의 추천을 받아 양관(兩館) 대제학과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겸했으며, 그밖에 여러 곳의 제조직을 받았다. 1765년에는 지중추부사와 형조판서가 되었다.

1766년 정헌(正憲)으로 승계한 뒤 상소를 올려 벼슬 길에서 물러났으며, 1767년 봉조하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1772년 『명사정강(明史正綱)』을 편찬했으나, 서법이 존주지의(尊周之義)에 심히 어긋난다고 하여 영조는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이는 남유용의 역사관이 성리학적 역사인식 방법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로 말미암아 장차 조선사기(朝鮮史記)를 편찬할 인물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으며,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측책문을 제진하여 칭송을 받았다.

인물됨이 실박하면서도 바른말을 잘하고 청백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명사정강(明史正綱)』·『천의리편(闡義理編)』·『뇌연집(雷淵集)』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단양에 있는 우화교비(羽化橋碑)와 해백윤세수비(海伯尹世綏碑)를 쓴 글씨가 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고서당집(古書堂集)』
『뇌연집(雷淵集)』
『조선금석총람』(조선총독부 편, 아세아문화사, 1976)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정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