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공예
유물
문화재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일명 석가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
내용 요약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는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일명 석가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이다. 불국사 삼층석탑은 751년 김대성의 발원으로 건립되었다. 1966년 보수를 위해 석탑을 해체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사리장엄구는 금동 외함과 금동합 등이며 내부에 46과의 사리가 안치되어 있었다. 금동 외함 안에는 한지에 목판으로 찍어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들어 있었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이다. 이 사리장엄구는 8세기 중엽 통일신라 사리장엄의 방식과 특징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정의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일명 석가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
개설

196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불국사 삼층석탑은 751년 김대성(金大城)의 발원으로 건립되었다. 1966년 10월 석탑의 보수를 위해 해체하던 중에 2층 탑신 사리공 중앙에서 금동제 사리외함이 비단에 싸인 종이뭉치 위에 놓인 채 발견되었다. 종이에는 묵서(墨書)의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주위에서 청동 비천상, 동경, 소형 목탑, 곡옥, 구슬, 향목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내용

출토품은 모두 3세트의 사리장엄구와 경전, 공양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중심이 되는 사리장엄구는 금동외함과 금동합, 은제 내합과 외합, 녹색 유리 사리병 등이며, 내부에 46과의 사리가 안치되어 있었다. 다른 하나는 은제 합과 은제 호로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사리 1과를 담은 향목(香木) 사리병과 금동합이 있었다. 공양품으로 목제 소탑, 청동 비천상, 동경, 동제 머리꽂이, 곡옥, 수정, 유리구슬 등이 함께 매납되었다.

금동제 사리외함은 기단부와 탑신부, 보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방형의 몸체에 지붕 모양의 뚜껑을 올렸다. 사리기의 네 면은 당초문을 투각하였고 지붕의 윗면과 몸체 일부에는 붉은색과 녹색 구슬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뚜껑의 정상부 꼭지점에는 얇은 판을 겹쳐 연화좌를 만들고 알이 굵은 붉은 마노를 올려 놓았다. 마노를 중심으로 네 모서리로 향하는 사면(斜面)과 테두리에는 작은 알갱이의 보석을 다섯 잎으로 만든 난집에 감장(嵌裝)하였는데, 보석의 중심에 구멍을 뚫고 못을 심어 기물에 부착하였다.

은제 외합의 뚜껑 중앙과 몸체 네 곳에도 마노와 유리구슬을 같은 방식으로 장식하였다. 은제 내합과 외합은 주1주2 기법으로 장식하였고 유리로 만든 사리병은 몸체가 둥글고 녹색을 띤다.

특징

금동 외함 안에는 사리기 외에도 한지에 목판으로 찍어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들어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본으로,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의 집권 시기에 만든 글자들이 발견되어 간행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경전 납입은 법신사리를 봉안하는 유행에 따른 것이며, 탑의 건립과 수리에 관한 공덕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근래 함께 출토된 묵서 주3이 보존 처리되어, 2007년 전체 내용이 공개되었다. 이를 통해 고려 초인 1024년과 1038년 두 차례에 걸쳐 석가탑이 해체 복원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불국사 삼층석탑 출토품은 8세기 중엽 통일신라시대 사리장엄의 방식과 특징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사리장엄의 구성이 복잡하고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유물이 추가로 납입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작 연대에 대해서는 향후 논의가 필요하다.

사리구와 함께 발견된 경전과 묵서 지편의 석가탑 중수 관련 기록인 「불국사 서석탑 중수 형지기(佛國寺西石塔重修形止記)」도 통일신라 불교 신앙과 공예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유물이다.

참고문헌

『불국사 석가탑 유물』(국립중앙박물관, 2009)
『불사리 신앙과 그 장엄』(통도사 성보박물관, 2000)
「석가탑 묵서 지편의 판독과 관련한 「무구정광경」의 간행 연대에 관한 연구」(김성수, 『서지학 연구』 41, 2008)
「고려 정종 4년 「불국사 서석탑 중수 형지기」와 석가탑 사리장엄구」(한정호, 『신라문화』 32, 2008)
「통일신라 사리장엄의 주요 양식에 대한 고찰」(신대현, 『신라문화제 학술발표논문집』 24, 2003)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선으로 새김. 또는 그런 그림이나 무늬. 우리말샘

주2

도자기의 겉에 씌운 잿물의 잘고 고운 금. 우리말샘

주3

종이의 작은 조각. 우리말샘

집필자
신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