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순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시대 신호위 섭장군, 친종장군, 천우위대장군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13년(예종 8)
사망 연도
1187년(명종 17)
본관
천안(天安)
정의
고려시대 신호위 섭장군, 친종장군, 천우위대장군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천안(天安). 조상은 대대로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아버지는 검교대장군행산원(檢校大將軍行散員) 신적(申迪)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인종(仁宗) 때 군에 들어가 1147년(의종 1) 대정(隊正)이 되었으며, 그 뒤 교위(校尉)·산원(散員)·별장(別將)·낭장(郎將) 등으로 승진하였다. 1170년 무신란(武臣亂) 때에는 동북면(東北面)에서 방수(防戍) 중이어서 난에 가담하지 않았다. 1173년(명종 3)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金甫當)의 반무신란(反武臣亂) 이후 다수의 문신이 무신들에 의하여 해를 입었으나 이때에도 가해에 참여하지 않았다.

같은 해 형부원외랑(刑部員外郎)을 거쳐 이듬해 1174년 흥화도(興化道)에 감세사(監稅使)로 파견되었다가 서경에서 조위총(趙位寵)의 난이 일어나자 전군병마판관(前軍兵馬判官)으로 출전하였다. 이때 정부의 제군(諸軍)이 흩어져 물러났음에도 휘하를 이끌고 안북부(安北府)에 들어가 이를 지켰고, 연주성(連州城)을 공격하여 승리를 거두는 등 전공을 세워 용호군(龍虎軍)의 중랑장(中郎將)으로 승진하고 동궁(東宮)을 호위하였다.

1176년 신호위(神虎衛)의 섭장군(攝將軍)이 되고, 이듬해 충주(忠州)에서 민란을 진압하였으며 곧이어 조위총의 세력이 서경에서 다시 움직이자 이를 진정시킴으로써 친종장군(親從將軍)이 되었다. 1179년 관직이 천우위대장군(千牛衛大將軍)에 이르렀을 때 치사(致仕)하였다. 성격이 원만하고 도량이 넓었다하며, 만년에는 불교를 깊이 신봉하였다. 1187년에 작성한 묘지명(墓誌銘)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금석문추보』(이난영, 아세아문화사, 1976)
집필자
윤용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