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전라도응방사, 군부판서, 응양군상호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친종장군(親從將軍)|전라도응방사(全羅道鷹坊使)|군부판서(軍簿判書)|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
관련 사건
조오의 모해사건
정의
고려후기 전라도응방사, 군부판서, 응양군상호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무뢰한으로 강도(江都)에서 처형된 윤양삼(尹養三)의 아들로, 부원(附元)세력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원종 때 친종장군(親從將軍)으로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 조오(趙璈)로부터 권신 임연(林衍)의 제거 계획을 제의 받아 거짓 승락한 다음, 임연에게 사실을 고해바침으로써 해를 입혔다.

1270년(원종 11) 무신정권이 무너지면서 조오의 모해사건에 대한 책임 추궁을 우려, 추밀원부사를 지낸 장인 송의(宋義)와 함께 가속을 이끌고 원나라로 도망갔다. 이 때 원나라에 볼모로 있던 세자(충렬왕)에게 응견(鷹犬: 사냥하는 데 쓰이는 매와 개)을 인연으로 총애를 받았다.

1274년 충렬왕이 즉위하자 귀국하여 대장군에 오르고 이정(李貞)·원경(元卿) 등과 함께 응방(鷹坊)을 관장하며 권세를 부렸다. 1279년(충렬왕 5)에는 전라도응방사(全羅道鷹坊使)로 파견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탐학과 횡포를 자행하여 사람들로부터 금수(禽獸)로 불릴 정도였다.

또한, 유망민들을 모아들여 이리간(伊里干: 응방 등에서 촌락이 없는 곳에 유민을 불러 모아 세운 취락)이라는 취락을 형성하여 응방의 경제적 기초로 삼았는데, 이들에 의한 민폐 또한 극심하여 안찰사(按察使)나 지방의 수령들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벼슬이 군부판서(軍簿判書)·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에 이르렀으며, 고려 후기에 응방을 통하여 진출한 대표적 인물로 꼽히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후기권문세족의 성립」(민현구, 『호남문화연구』6, 1974)
「高麗時代の鷹坊について」(內藤雋輔, 『朝鮮學報』8, 1955;『朝鮮史硏究』, 1961)
집필자
윤용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